오미크론으로 인해 가까스로 코로나19의 긴 터널이 끝나는 줄 알았는데 `올 하반기에 새로운 변이가 또 나올 것이다`, `2년 내 오미크론보다 위험한 변이가 나올수 있다`는 암울한 전망들이 국내외서 나오고 있다. 당초 오미크론 변이를 마지막으로 코로나19가 엔데믹(계절독감화)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많았다. 하지만 전문가들에 따르면 아직은 그 시점이 되지 않았고 이전 변이에 비해 온화한 오미크론이 지배종화하는 과정이 끝나면 강력한 새 변이가 나타나 다시 유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지난 25일 대한백신학회 온라인학술대회에서 "감염병이 가지는 특성과 동적인 집단면역으로 앞으로 반복적인 재유행은 피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 하반기 새로운 변이가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정 교수는 이번 유행을 통해 인구 중 40% 이상이 감염을 통해 면역을 획득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정교수는 "국내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변이가 나타나는 확률은 매달 평균 30%"라며 "면역 감소와 사회적 중재의 중단, 새 변이의 등장 시점은 생각보다 빠를 수 있다. 이런 시점이 겹칠 경우 피해는 더욱 더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이날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영국 정부 최고의학보좌관인 크리스 위티 박사는 "코로나19 팬데믹 종식까지는 갈길이 멀다"면서 "새로운 변이가 나타날 확률이 높다"고 밝혔다. 위티 박사는 2년 내로 오미크론보다 더 나쁜 변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영국 정부의 비상사태과학적자문그룹(SAGE) 전문가들은 오미크론에서 발전한 게 아닌 메르스 같은 초기 코로나 바이러스 계통의 변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현실적으로 있다고 말했다. 이 변이는 세 명 중 한 명이 사망하는 치명적인 것일 가능성이 높다. 과학자들은 다음의 코로나19 변이가 반드시 오미크론에서 직접 진화한다는 보장이 없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28일에 출간된 네이처지에 따르면 영국 쿼드럼연구소의 생물정보학자 앤드루 페이지 박사는 "새로운 변이가 몇 달에 한번씩 휩쓸 것"이라면서 "이것이 상당히 정기적으로 일어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과학자들은 오미크론은 독성이 약해지는 쪽으로 진화했지만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진화 경로는 여전히 불분명하다고 말했다. 에딘버러 대학의 앤드루 램바우트 교수는 "지금까지 새롭게 나타난 `우려 변이`들은 바로 앞의 지배종에서 나오지 않았다"면서 "다음의 우성 변이는 델타나 알파 변이 계통에서 오미크론을 쓸어버릴 정도의 면역회피성을 갖고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27일 0시 기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1만8130명 발생했다고 밝혔다. 나흘째 30만명대를 기록했으며 소폭 우하향세를 보였다. 이날 신규 확진자 31만8130명은 전날(26일) 33만5580명보다 1만7450명 감소했다. 일주일 전(20일) 33만4642명보다 1만6512명, 2주일 전(13일) 35만168명보다는 3만2038명 증가했다. 최근 한 달간 매주 일요일(토요일 발생) 기준 확진자 규모로는 `2월 27일 16만3558명→3월 6일 24만3619명→3월 13일 35만168명→3월 20일 33만4642명→3월 27일 31만8130명` 흐름을 보였다.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위중증 환자는 `1216명`으로 역대 두 번째로 많았다. 전날(24일 0시) 1164명보다 52명 증가했다. 20일째 네 자릿수(1000명대) 기록 중인데 1200명 규모로는 3월 16일 1244명(역대 최다 규모) 이후 11일 만이다. 사망자가 크게 증가하자 위중증 환자는 오히려 줄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누적 사망자는 1만4899명이다. 최근 일주일 동안 2471명이 숨졌다. 주간 일평균 사망자는 353명이다. 누적 치명률은 9일째 0.13%였다. 최근 2주간 사망 추이는 `200→293→164→429→301→319→327→329→384→291→469→393→323→282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감염자수와 사망자가 줄고는 있으나 하반기 새로운 변이에 대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