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도지사는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1회 중앙지방협력회의에 참석했다.  이번 회의는 문재인 대통령의 주재로 17개 시도지사와 지방 4대 협의체(시도지사협의회, 시도의회의장협의회,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시군구의회의장협의회) 회장 그리고 김부겸 국무총리를 비롯 기재부, 교육부, 산업부 등 10개 부처 장차관이 참여한 가운데 70분간 이어졌다.  주요 안건으로 기재부 장관의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 국무조정실장의 초광역협력 추진 현황 및 향후계획, 자치분권위원장의 `자치분권 성과 및 2.0시대 발전과제`에 대한 보고와 토론이 이어졌다.  이날 이철우 지사는 의원 시절 대표 발의한 법률안이 10년 만에 현실화돼 지방자치의 새로운 역사를 열어갈 중앙과 지방의 협력체계가 갖춰진 것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광역단체 간 행정통합을 처음 시도한 경험을 나눴다.  특히 이 지사는 "대한민국이 소득 5만달러 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중앙의 권력과 자본을 지방으로 나눠 지방과 중앙이 함께 윈윈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또 "그 해답은 지방에 권한을 대폭 이양하고 500만 이상의 경제권을 만들어 지방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대구경북 행정통합도 이런 차원에서 시작된 것으로 광역단체가 행정통합의 법적 기반과 로드맵을 구체적으로 마련하는데 힘을 합치자"는 제안을 했다.  이날 시도별 자치분권 성과 사례로 510만 시도민의 힘으로 이뤄낸 `신공항 이전지 결정`과 민선 7기 들어 단일 정책 사업으로 최대인 1조6000억원의 투자유치 성과를 이뤄낸 `경북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사례도 소개돼 주목을 끌었다.  한편 경북도는 행정통합으로 가는 징검다리로서 특별지방자치단체 설치에 주력하고 있다. 전담부서인 `대구경북광역행정기획단`을 연초에 설치·운영해 연말쯤 대구경북 특별지자체를 공식 출범시킨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와 함께 초광역협력 산업 협업과제 연구용역을 추진해 협력사업 추가 발굴과 사업 구체화도 연중 추진 예정이다.  이 지사는 "중앙지방협력회의는 지방이 국정운영 파트너로 참여하는 첫 단추를 끼운 것이다"라면서 "지방자치 30년 역량을 믿고 더 과감한 권한 이양과 재정의 포괄적 배분으로 국가 성장의 판을 바꿀 수 있는 대전환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번 중앙지방협력회의는 지난해 1월 12일에 전부 개정돼 이달 13일 시행되는 `지방자치법`에 근거를 두고 있다. 또 중앙지방협력회의는 이철우 지사가 의원 시절인 지난 2012년 10월 제19대 국회에서 `중앙지방협력회의 설치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 발의한 것이 시초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