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형 일자리를 통해 대한민국이 배터리 강국으로 도약할 것이다".  대한민국 차세대 이차전지 산업을 이끌 구미형 일자리 LG BCM 공장 착공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이 같이 말했다.  구미시는 11일 구미코에서 `상생의 미래, 구미가 당긴다`라는 슬로건 아래 구미형 일자리 LG BCM 공장 착공식을 가졌다.  이날 문재인 대통령, 홍남기 경제부총리,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권칠승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안경덕 고용노동부 장관, 김용기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문성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 임서정 일자리수석 등 중앙부처 주요 인사들과 신학철 LG화학 대표이사, 김우성 LG BCM 대표이사 그리고 이철우 도지사, 장세용 구미시장, 구자근 국회의원, 지역 노사민정위원회 위원, 상생협약 기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산업단지공단, 경북테크노파크, 구미전자정보기술원 등 지원 및 협력기관, 주민대표 등이 참석했다.  구미형 일자리 LG BCM 공장 착공은 2년 6개월 만에 이뤄졌으며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019년 7월 상생형 구미일자리 투자협약식에 참석한 바 있다.  LG BCM 양극재 공장은 구미국가5산단 내 부지 6만6116㎡(2만평), 건물 연면적 약 7만5900㎡(약 2만3000평)로 이는 단일 공장 기준 세계 최대 규모로 오는 2024년부터 양산할 계획이다.  LG BCM은 직접고용 187명을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채용하게 되며 고용 유발효과 8200명, 생산 유발효과 7000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2450억원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경북도와 구미시는 그동안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고 두 차례에 걸쳐 투자협약과 상생협약을 체결해 고용·투자, 상생협약을 구체화하는 노력 끝에 지난해 12월 29일 정부의 상생형 지역일자리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뤄냈다.  구미시 노사민정은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담은 합의를 도출해 상생협약을 체결했다. 근로자는 노사분규를 최소화하고 노사갈등조정위원회 설치 및 참여로 노사협력 강화에 노력하며 생산성 향상 교육에 적극 참여한다.  상생기업은 지역 인재를 우선으로 채용하고 협력업체, 5산단 입주기업 등을 대상으로 ESG펀드 운영, 상생협력 기금 조성에 적극 나선다.  지역 고교와 대학은 이차전지 전문인력 양성 및 우수 인재를 공급하고 시민사회는 노사 간 갈등 해소 절차에 참여해 우호적 여건을 조성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투자보조금 지원, 국가산단 50년 무상 제공, 기업과 지자체가 공동으로 상생협력기금 조성(60억원), 상생협력지원센터 등을 통해 근로자 복지 향상에 힘쓴다.  구미형 일자리는 이를 통해 지역사회 동반성장을 위해 상생협력을 강화해 이차전지 첨단소재 클러스터를 구축, 대한민국 배터리산업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구미형 일자리 공장착공은 글로벌 공급망의 위기 상황에서 지역의 노사민정이 어떻게 상생해서 대응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다"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신학철 부회장은 "구미 공장에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과 설비를 투자해 급성장하는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소재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최고의 공장으로 자리매김하도록 노력할 것이다"라며 "LG화학의 미래 성장 동력을 가속화하는 핵심기지 역할을 강화해 지속 성장하는 차별화된 비즈니스로 육성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이철우 도지사는 "이번 LG화학과 같은 대기업의 지역 투자는 지방이 여전히 투자 가치가 있고 살 만한 곳이라는 방증이다"라며 "우리가 가진 역사와 문화, 자연환경을 잘 활용하고 통합신공항 등을 통해 세계적인 투자 환경을 갖춰 미래 첨단산업에 글로벌 기술력을 가진 기업들을 지속 유치해 일자리 창출에 더욱 매진하겠다"라고 밝혔다.  장세용 시장은 "구미 시민들의 적극적인 지지와 성원이 있었기에 구미형 일자리 LG BCM 공장 착공이 가능했다"라며 "앞으로 지역 노사민정이 합심해 구미가 이차전지 클러스터의 심장으로 도약해 지역 청년들의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고 다시 한 번 대한민국의 경제를 이끌어 가겠다"라고 밝혔다.  구미형 일자리사업은 지역 경제가 직면해 있는 기존 주력산업의 구조적 문제를 근본적으로 전환하고 이차전지 첨단소재 클러스터 구축 등 구미와 경북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가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박의분 기자ub0104@hanmail.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