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외출이 힘들어진 상황에서도 일상생활을 이어나가야 하는 시민들을 위해 대구시는 `두드리소`, `뚜봇`, `120달구벌콜센터`, `민원·공모홈서비스`를 운영해 시민들의 불편함을 대폭 덜어주고 있다.  대구시는 지난 2015년 민원·콜 통합시스템인 `두드리소`를 필두로 챗봇 서비스 `뚜봇`, 전화 상담이 가능한 `120달구벌콜센터`와 집에서도 민원 서류 발급 및 공모 신청을 할 수 있는 `민원·공모 홈서비스`를 구축해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실제로 `두드리소` 이용건수는 10만4642건으로 지난 2020년 대비 165%가 증가했는가 하면 `뚜봇`의 경우 8만2968건으로 이용률이 13%나 증가했다. 4차산업 시대에 걸맞게 인공지능(AI)과 같은 첨단정보기술을 민원 시스템에 적용한 온라인 플랫폼이 제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두드리소`는 지방자치단체로는 전국 최초로 구축된 민원 통합시스템으로 각 부서별로 흩어져 있던 30개의 접수창구를 일원화해 민원을 신청하면 접수부터 처리까지 체계적이고 신속하게 안내받을 수 있는 대구시 대표 민원 서비스이다. 모바일이나 PC를 이용해 인터넷 검색창에 `두드리소`를 검색하거나 웹페이지로 바로 접속해 이용할 수 있다.  두드리소 챗봇(chatbot) 서비스인 `뚜봇`은 지능형 민원 상담 시스템으로 웹이나 카카오톡 채널에서 `뚜봇`을 검색하면 대구시에서 진행되고 있는 각종 정책이나 서비스를 안내받을 수 있다. 지난해에 이어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백신접종, 생계지원금 신청뿐 아니라 행복페이 발행, 대구로 공공배달앱, 공공일자리사업 신청 절차까지 실시간으로 안내받을 수 있다. 올해는 위치 기반 지도 서비스 개선과 챗봇 엔진 업그레이드 및 학습데이터 품질 향상을 통해 더욱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민원소통창구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는 `120달구벌콜센터`는 40명의 상담사가 연간 40만여 건의 상담을 처리했고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예약 및 백신종류 관련 문의, 임시선별검사소 등을 안내했다. 상담은 365일 연중무휴 전화(국번없이 120), 문자(053-120)로 받을 수 있으며 외국어 상담(영어, 중국어, 일본어)도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제공된다.  대구시 `민원·공모 홈서비스`는 각종 허가·등록·신고증 신청과 수령을 위해 두 번 이상 민원실을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지난 2018년에 시작한 서비스로 현재 정보통신공사 감리원 배치신고, 대학생 캠퍼스지킴이 근무확인서 발급 등 16종의 서식민원과 연간 400여종의 공모·모집 신청을 받고 있다.  특히 작년 12월에는 `대학생 인턴 신청` 서식을 추가해 민원·공모 홈서비스로 신청을 받고 서류를 제출하게 해 2400여건을 처리한 바 있다.  김진상 대구시 자치행정국장은 "비대면 민원 서비스를 더 많은 시민들이 편리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점검하고 서비스 기능을 추가·개발해 언택트(Untact) 시대이지만 소통은 더욱 활발하게 이뤄지는 온택트(Ontact)시대가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명열 기자rositante@kakao.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