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북 북부지역 권역거점의료기관에 입원해 치료받던 환자가 코로나19 집단감염으로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해 병원관리에 문제가 없었는지 살펴봐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지난해 12월 9일 권역거점의료기관인 안동병원을 찾은 A씨는 치료 당일 바로 회복했으나 병원 측의 권유로 11층 병동에 입원했다.  입원 이틀 뒤인 12월 11일 병원 11층 병동에 근무하는 종사자 1명을 시작으로 코로나 집단감염이 발생했다. A씨는 앞서 화이자 백신 2차 접종을 완료했지만 같은 달 14일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았고, 8일 후인 22일 숨졌다.  숨진 A씨의 가족은 "어머니는 기저질환이 있었지만 지난 5년 동안 잘 관리해 오고 있었고 인근 도시인 영주에서 혼자 고속버스를 타고 병원을 오가며 시장을 보고 음식을 하고 가끔 친구도 만나는 등 일상생활을 하는 상태였다"며 "어머니는 화이자 백신으로 이미 2차례 접종했다"고 밝혔다.  이어 "당시 어머니는 치료 당일 바로 회복했으나 조금 더 지켜보자는 병원 측의 말에 입원했다가 변을 당했다"며 "가족들이 임종도 지켜주지 못하고 혼자 쓸쓸히 돌아가셨다"고 설명했다.  사망자 가족들은 병원측의 뒷북 행정이 사람을 죽게 만들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망자 가족은 지난 6일 청와대 국민청원에 `안동병원 코로나 사망자 유가족입니다. 안동병원과 안동시 방역당국을 조사해달라`는 제목으로 청원을 올렸다.  청원을 통해 " 11층 병동에서 지난달 11일 병원 종사자로부터 감염이 시작됐으나 환자와 보호자에게 알리지 않아 확진자와 비 확진자가 동일 병동에서 함께 주말을 보내게 됐다. 이틀 뒤인 13일이 되어서야 코호트 격리를 하고 환자와 병원 종사자 전수검사를 시작해 확진자를 키웠다"고 주장했다.  이어 "확진자가 쏟아지는데도 11층 환자들을 개별적으로 격리도 없이 11층으로 들어가는 입구만 봉쇄했다. 22일이 되어서야 7층에 음압병실 50여 개를 구축하는 등 뒤늦게 대응에 나섰다"며 "요양병원도 아닌 권역 거점 종합병원인 안동병원에서 많은 확진자와 사망자가 나올 수 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청원인은 "현재 안동시 관할보건소에서는 11일 코로나 초기 발생 시 안동병원에 그 대처를 일임했다고 하고 안동병원은 경북도나 안동시에서 제대로 지원을 받지 못했다면서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며 "이러한 결과는 안동시와 안동병원의 잘못된 대처가 원인이라고 생각한다"고 비판하고 있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방역 당국은 백신 접종만이 최고의 방역이라며 방역에 고삐를 쬐는 동안 권역거점의료기관의 안일한 대책으로 많은 환자들이 코로나19 감염으로 사망하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 발생했다.  방역 당국은 지난달 11일 첫 확진자 발생 후 원내 보고사항, 안동시와 안동병원의 역학조사 이행 여부, 환자 격리절차 이행 여부 등에 대해 안동병원과 안동시를 대상으로 철저한 조사와 감사를 통해 진상을 규명하고 다시는 이런 일이 우리 사회에 발생하지 않도록 조취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