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13일 포항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동해면 공당리 일원)에서 이차전지 종합관리센터(이하 센터) 준공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센터는 총 사업비 107억원(도 27억원, 시 80억원)을 들여 지난해 2월에 착공했으며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의 수거·보관·성능검사·등급분류 등 폐배터리 재사용·재활용을 위한 허브로서 역할을 한다.  센터는 배터리 보관동(1213㎡), 연구동(885㎡), 사무동(1450㎡)으로 구성돼 있다.  배터리 보관동은 대구경북 폐배터리 거점수거센터로서 국내 최대 규모(약 1000개)의 사용 후 배터리를 보관하고 잔존가치에 대한 성능평가 및 등급분류를 통해 폐배터리의 재사용·재활용 여부를 결정한다.  연구동은 사용 후 배터리의 안전성·신뢰성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사무동은 사업화 지원 시설 및 기업의 입주공간으로 활용된다.  포항의 배터리 리사이클링 특구는 지난 2019년 7월 지정 이후 GS건설을 시작으로 에코프로 포스코케미칼 등 대규모 기업 투자가 줄을 이으며 가장 성공적인 규제자유특구 모델로 손꼽히고 있다.  이번 센터 준공으로 포항은 국내 최초 `사용 후 배터리 수거-보관-성능 평가 및 등급분류-재활용·재사용`의 전주기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 생태계를 완성했다고 평가되고 있다.  경북도는 환경부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 구축사업(487억원)` 및 `녹색융합클러스터 지정(2022년 상반기)`과 연계해 센터를 국가 배터리 재활용·재사용 산업의 거점으로 녹색산업을 선도한다는 구상이다.  하대성 도 경제부지사는 "포항은 경북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이후 명실상부 배터리 선도 도시로 거듭났다"라면서 "Post 철강시대, 포항이 K-배터리를 이끌 국가대표로 자리매김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