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후보를 당 대선 후보로 선출했지만 무효표 논란 후폭풍이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이낙연 전 대표 측이 사퇴 후보자의 득표 수를 유효투표 수에 합산해 결선 투표를 진행할 것을 주장하면서 당내 갈등이 심화하는 모습이다.
이낙연 캠프 소속 의원단은 11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잘못된 무효표 처리를 바로 잡아야 한다"며 "결선 투표가 진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이재명 후보는 최종 득표율 50.29%로 민주당 대선 후보로 선출됐다. 하지만 정세균·김두관 후보의 사퇴 전 득표 수인 2만9399표를 유효투표수로 처리할 경우 이재명 후보의 득표율은 49.32%로 떨어져 이른바 `사사오입` 논란이 재점화했다.
이와 관련해 이 전 대표의 캠프 공동선대위원장인 홍영표 의원은 회견에서 특별당규 제59조 1항(후보자가 사퇴 시 무효표 처리)을 언급, "지난달13일(정세균 후보 사퇴일) 이전에 정세균 후보에게 투표한 2만3731표와 27일(김두관 후보 사퇴일) 이전에 김두관 후보에게 투표한 4411표는 사퇴하지 않은 후보에게 투표한 것이므로 당연히 유효투표"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세균·김두관 후보의 사퇴 전 득표 수와 관련해 "이미 순회경선에서 선관위가 개표 결과를 발표할 때 유효투표로 공표한 것"이라며 "이후 무효라고 별도 공표나 의결이 있지 않았다. 당연히 최종 결과 발표 때 단순 합산에 포함되는 것이 당헌·당규에 맞는다"고 강조했다.
이 전 대표 측이 결선 투표를 당 지도부에 요구했지만 이같은 주장이 받아들여질지는 미지수다. 당 지도부는 이미 후보가 확정됐다며 선을 긋고 있다.
송영길 민주당 대표는 이날 이재명 후보와 대전 국립현충원을 참배한 뒤 기자들과 만나 "우리당은 선거관리위원회에서 이재명 후보를 20대 대통령 후보로 확정했다"며 "대한민국은 헌법에 따라 운영되는 것처럼 민주당은 당헌·당규에 따라 운영된다"고 말했다.
특별당규에 따라 후보가 확정된 만큼 재고할 여지는 없다 해석이 나왔다.
무효표 논란의 당사자인 정세균 전 국무총리와 김두관 민주당 의원도 당 지도부에 힘을 실었다.
정 전 총리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경선이 끝나고 본선이 시작됐다"며 "원칙을 지키는 일이 승리의 시작이다. 4기 민주당 정부를 향해 함께 나아갈 때"라고 밝혔다.
김 의원도 "경선 도중 사퇴한 당사자로서 이 문제가 이의제기의 핵심으로 등장하고 있어 좌불안석이라는 표현이 더 어울리는 마음"이라면서도 "마음이 불편하다고 해 원칙이 훼손되는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 전 대표 측은 이날 당 중앙선관위에 무효표 처리와 관련한 이의 제기를 신청할 예정이다.
이 전 대표 측은 법적 대응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이의제기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상당한 후폭풍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