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7세 연령대를 시작으로 소아청소년에 대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 백신 접종 사전예약이 지난 5일 부터 시작됐다. 소아청소년에 대한 백신 접종에 우려와 필요성이 상존하고 있는 점을 의식한 듯 방역당국은 강요로 비치지 않도록 애를 쓰는 모습이다.  단계적 일상회복의 방안으로 논의되는 `백신 패스`에 소아청소년은 예외로 두고 이날부터 시작되는 백신 접종 예약률도 미공개를 두고 논의하는 상황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 추진단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1차 접종자는 2만5355명이 증가해 누적 3973만9505명을 기록했다. 접종 완료자는 20만9328명 증가해 총 2722만5977명을 나타냈다. 1차 접종률은 77.4%, 접종 완료율은 53%다. 만 18세 이상 성인 인구 대비 1차 접종률은 90%, 접종 완료율은 61.6%를 기록했다.  그동안 백신 접종 대상에서 예외됐던 12∼17세 소아청소년은 12∼15세, 16∼17세로 두 분류로 나눠 예약 및 접종이 진행된다.  16∼17세(2004년생∼2005년생) 소아청소년은 이날 오후 8시부터 오는 29일까지 예약을 할 수 있다. 이들의 접종은 18일부터 11월 13일까지 실시된다. 12∼15세(2006∼2009년생) 소아청소년은 18일부터 11월 12일까지 예약을 진행하고 접종은 11월 1일부터 11월 27일까지다.  다만 백신 접종의 부작용을 두고 고등학교 1∼2학년(만 16∼17세) 학생을 자녀로 둔 학부모들은 고심이 깊다. 대입 입시를 앞두고 있는 고3 학생(만 18세)들은 학업 방해를 피하기 위해 접종을 받았지만, 고1∼고2 학생들까지는 우려스럽다는 것이다.  7일부터는 해외에서 백신을 접종 받고 대사관에서 `격리면제서`를 받았다면 국내에서도 백신 인센티브를 적용받을 수 있게 된다.  해외에서 백신을 맞은 뒤 격리면제서를 발급받은 내외국민, 주한미군·주한외교단 및 동반가족은 국내 보건소에 방문해 본인 명의의 해외예방 접종증명 내역과 격리면제서를 제시하면 국내 예방접종 시스템에 접종 이력을 등록하고 확인서(종이 또는 전자)를 발급받을 수 있다.  확인서를 발급하는 백신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승인한 백신이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접종 중인 아스트라제네카(AZ), 화이자, 모더나, 얀센 외에 중국산 백신인 시노팜 및 시노백 등도 확인서 대상에 포함했다.  현재 정부는 지난 7월부터 공무나 사업상 목적, 직계가족 방문 등 인도적 목적의 입국자가 WHO에 등록된 백신 접종을 마친 경우 2주간 자가격리를 면제해 주고 있다.  손영래 사회전략반장은 "WHO가 공식적으로 승인한 백신을 기준으로 격리면제제도를 도입했다"며 "이번 조치도 동일한 연장선이며 WHO 인증 백신을 맞고 자가격리 면제서를 발급받아 국내로 들어오는 경우 주한미군·외교 분야 대상자는 국내 예방접종자와 동일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방역당국은 코로나19 항체검사키트로 백신 접종 효과를 평가하는 것에 "임상적 성능 평가가 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최근 약국에서 `자가 항체검사키트`라는 명칭으로 백신 접종자 개인의 코로나19 항체 형성 여부를 확인하는 진단 시약이 판매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