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온갖 곡식과 과일을 일컫는 오곡백과가 무르익는 계절인 가을이다.  높은 하늘과 익어가는 곡식을 바라보며 한 해 동안 땀 흘려 지은 농산물의 수확을 준비하는 가을에 농민들의 정성이 깃든 한 해 수확물을 잃게 만들 뿐 아니라 삶의 허탈감 마저 느껴지게 하는 불청객이 있으니 바로 `수확기 농산물 절도`이다.  최근 3년간(2018년∼2020년) 경북도에서 발생한 농산물 절도를 분석해보면 총 1591건의 농산물 절도 중 전체 건수의 25%인 399건이 수확기(10월∼11월)에 발생하는 것을 통해 이 시기 수확물에 대한 절도가 집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격적인 수확기를 맞아 상주경찰에서는 과수원·논·밭 및 농산물 보관장소 등 취약장소에 주·야간 집중 순찰 활동을 실시하고 마을에 설치된 CCTV·조명시설을 점검해 범죄환경을 개선하며 범죄예방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나 범죄는 경찰관 뿐 아니라 당사자인 농민들의 힘이 함께 모아져야만 예방할 수 있다.  이에 수확철 농산물 관리 예방법에 대해 몇 가지 소개하자면 첫째 농산물 보관장소에 잠금장치를 설치하고 외출 전 확실히 시정하는 것이다. 대부분 절도는 비닐하우스, 창고 등 인적이 드물고 잠금장치가 제대로 돼 있지 않은 곳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잠금장치의 존재만으로도 절도범에게 심리적인 압박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범죄 소요시간을 길게 해 검거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잠금장치 설치와 시정은 필수다.  두 번째 CCTV 설치 또는 블랙박스가 설치된 차량을 주변에 주차하는 것이다. 농산물 보관 장소 주변에 CCTV를 설치하고 여의치 않으면 블랙박스가 설치된 차량을 주차하거나 CCTV 표지판이라도 설치한다면 범행 시 범인들이 주저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만약 절도 발생 시 해당 영상을 통해 범인을 특정할 수 있다면 조기에 범인을 검거해 피해품 회수에도 매우 용이하다.  세 번째 `탄력순찰`을 신청하는 것이다. 경찰이 범죄통계시스템을 활용해 농산물 보관장소 주변에 순찰 활동을 전개하고 있지만 주민만큼 마을 내 범죄취약지에 대해 속속히 알고 있기는 힘들다.  이에 치안서비스의 수요자인 주민의 입장에서 원하는 시간과 장소를 반영해 순찰을 실시하는 `탄력순찰`을 신청하면 훨씬 더 안전하게 농산물을 보관할 수 있다.  1년 동안 정성을 다해 가꾼 농산물은 농민들의 목숨과도 같다. 경찰관의 범죄예방 및 검거를 위한 노력과 주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힘을 합친다면 귀중한 농산물 지켜 안전한 수확기를 보낼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