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3분기 소비자물가가 2.6% 상승해 9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4분기에도 오름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면서 연간 2%대 상승률을 보일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
지난달 물가는 2.5% 상승하면서 6개월 연속 2%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석유류와 농축수산물의 상승폭은 다소 둔화됐지만 개인서비스와 가공식품 등 수요 확대에 따른 물가 인상이 크게 작용했다.
6일 통계청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 9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8.83(2015년=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2.5% 상승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지난 1월 0.6%, 2월 1.1%, 3월 1.5%로 상승하다 4월 2.3%로 처음 2%대에 올랐다. 5월(2.6%)엔 9년1개월만에 최고상승률을 보였고 6월(2.4%)엔 소폭 낮아졌으나 7, 8월엔 잇따라 2.6%를 기록한데 이어 9월엔 2.5% 올라 6개월 연속 2%대를 나타냈다.
소비자물가가 6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 2009년 8월(2.2%)부터 2012년 6월(2.2%)까지 이후 9년3개월만이다.
지난 7∼9월까지 올 3분기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2.6% 높다. 분기 기준으로는 지난 2012년 1분기(3.0%) 이후 9년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농축수산물이 전년동월대비 3.7% 상승했고, 석유류는 22.0% 상승했다. 두 항목 모두 여전히 높은 상승률을 보였지만 전월에 비해서는 상승폭이 둔화됐다.
농축수산물 중에서는 달걀이 43.4% 올라 올해 1월부터 9개월 연속 두자릿수 상승률을 지속했다. 돼지고기(16.4%), 쌀(10.2%), 상추(35.3%), 수입쇠고기(10.1%), 마늘(16.4%) 등도 많이 올랐다.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물가 상승폭이 둔화된 가운데 개인서비스와 가공식품의 상승폭이 크게 나타났다.
공업제품은 3.4% 올랐다. 지난 2012년 5월(3.5%)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휘발유(21.0%), 경유(23.8%) 등 석유류가 22.0% 상승한 가운데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빵(5.9%), 라면(9.8%) 등 가공식품도 2.5% 뛰었다.
개인서비스는 전년 동월대비 2.7% 상승했다. 특히 외식물가가 3.1% 올랐으며 개인서비스 중에선 보험서비스료(9.6%), 생선회(외식)(8.4%) 등이 많이 올랐다.
공공서비스는 0.1% 상승했다.
집세는 1.7% 상승했다. 월세는 0.9%, 전세는 2.4% 각각 뛰었다. 월세는 지난 2014년 7월(0.9%) 이후, 전세는 2017년 11월(2.6%) 이후 가장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1.9% 올라 지난 3월부터 7개월 연속 1%대 상승률을 보였다. 2016년 4월(1.9%)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1.5% 올라 2016년 10월 1.6%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신선식품지수는 2.5% 하락해 지난 2019년 12월(-2.2%)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다. 신선과실이 8.3%, 신선어개가 1.0% 상승했으나 신선채소가 12.3%나 하락했다.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3.1% 상승했다. 식품은 전년 동월 대비 2.9%, 식품 이외는 3.2% 각각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