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농업기술원은 지역 농경지 토양과 농업용수의 변화를 20년간 조사하고 그 결과를 지도 기반으로 알기 쉽게 구성한 책자를 발행해 농업 현장의 토양 관리에 활용하도록 했다고 28일 밝혔다.  지난 1999년 시행된 `친환경 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 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농촌진흥청과 공동으로 농경지 환경자원의 변동 조사 사업을 추진해 올해 5차 사업을 완료했다.  밭, 과수원, 논, 시설재배지 등 1047점의 농경지에 대해 토양 화학성과 물리성을 4년 주기로 조사했다.  또한 농업용수로 활용되는 지하수와 하천수 48지점에 대해서도 pH, 질산태질소, 염소 등 기준 항목을 비롯한 18개 항목을 조사를 실시했다.  농경지의 토양은 20년 동안 pH, 유기물, 유효인산, 칼륨, 칼슘 등 주요 양분의 함량이 증가하는 추세였으나 대체로 작물 재배에 적합한 범위를 유지했다.  일부 시설재배지에서 전기전도도와 유효인산 등이 권장 범위를 초과하는 사례가 있어 토양 검정 후 시비 처방에 따라 관리하는 등의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내용도 담겨 있다.  토양의 밀도, 경도 등 물리적 특성 역시 권장 범위 내에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납, 카드뮴 등 토양 오염을 일으키는 중금속의 함량은 모든 조사지점에서 기준 이하 또는 검출되지 않았다. 조사된 하천수와 지하수도 농업용수 기준에 부합했다.  경북농업기술원은 이와 같이 조사된 토양, 농업용수의 변화를 `한눈에 보이는 경북의 흙과 물 20년` 책자로 발간해 농업 현장에 배부했다.  이 책자는 지도 기반으로 분포도를 작성했고 각 항목들의 변화 추세를 그림으로 표기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현재 구축 중인 `농업환경통합 플랫폼`을 통해서도 환경 관리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농업 현장에서 지속 가능한 농업환경 관리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