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의회 김동해 의원<사진>이 지난 27일 열린 제262회 경주시의회 임시회 본회의에 앞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고교평준화`로 타 지역으로의 인구 유출을 방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한국 고용정보원에 따르면 30년 후에 인구 감소로 사라질 지방 도시 중 경주시가 안동시에 이어 소멸 위기도시 2위라는 불명예를 안았다"며 "방증이라도 하듯 20년 전 30만이던 도시가 25만2000여명으로 줄어들었고 하향곡선을 멈추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소멸 위기도시의 공통점은 재정 자립도가 낮으며 일자리가 줄고 교육여건이 좋지 않다는 것으로 경주시가 바로 여기에 해당된다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따라서 소멸도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지자체가 실현 가능한 것부터 계획을 수립·시행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고교평준화를 통해 타 지역으로의 인구 유출을 막고 교육도시로 거듭남으로써 인구 증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6대 의회 때 직접 고교평준화에 대한 시정질의를 했고 그 후 최덕규 의원을 비롯해 몇 명의 의원들이 의견을 제시했다. 더욱이 고교평준화는 김석기 현 국회의원과 주낙영 시장의 핵심 공약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또한 "경주지역 고교평준화에 대한 공론은 지난 2016년 전임 최양식 시장이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고교평준화 도입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시작됐고 지난 2018년 시민을 대상으로 한 여론 조사에서 81.9%의 찬성률을 보인 결과도 있다"며 "고교평준화의 시행권자가 도교육감이므로 도의회의 조례 제정 등 여러 행정 절차를 거쳐 이뤄져야 하는 것임으로 원탁회의에서 논의된 추진위원회 구성과 시의회·도의회·시장·국회의원이 합심 노력해 실질적 시행 방안을 강구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김동해 의원은 "물론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다는 것도 사실이지만 평준화 대상 학교 간 교수·학습·환경 등 교육여건에 큰 차이가 없고 평준화에 대한 각 학교의 인프라도 충분히 구축돼 있다고 판단된다"며 "신속한 고교평준화만이 과거 경주시가 동해남부지역 교육의 중심도시로 각광받았듯이 인구 유출을 막고 소멸도시 위기에서 벗어나는 해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올 3월 기준 경북도 전체 고등학교 입학생 수가 전년 대비 1800명 줄었고 경주지역 남학생의 경우 중3 졸업생 대비 고입 정원에 무려 560명이 부족한 상황으로 올해 고교입학 결과 경주지역 18개 학교 중 12개 학교가 정원 미달 사태를 빚었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