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군이 추진 중인 `청도예술인창작공간 조성사업` 이 지역 주민들의 반발에 직면하고 있다. 46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대형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절차적 투명성이 부족하고 주민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군은 지난 5일 각북면사무소에서 주민설명회를 열고 조성사업의 방향과 세부 계획을 설명했다. 그러나 이 자리는 이미 사업의 큰 틀이 확정된 이후 열렸으며, 법적.제도적으로 보장된 공청회 절차는 생략됐다. "결정 다 해놓고 설명만 하는 들러리 행사"라는 불만이 현장에서 터져 나온 이유다.청도예술인창작공간 조성사업은 예술인의 창작활동을 지원하고, 문화.예술.관광의 거점 역할을 하겠다는 취지로 추진되고 있다. 군은 전시, 공연, 워크숍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복합문화공간을 만들겠다고 밝혔다.그러나 주민들 입장은 다르다. 해당 부지는 원래 주민들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공간으로, 마을의 공공성을 위해 활용해 달라는 요구가 이어져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군은 사업 추진 사실을 알리지 않은 채 예산을 집행하고, 이미 대부분의 계획을 확정한 뒤 설명회를 개최했다.주민 A씨는 "이 사업이 46억이나 들어가는 줄도 몰랐다.주민들도 모르는 사이 건물이 올라간다는데, 이게 정상인가"라며 분통을 터뜨렸다.특히 주민들은 `깜깜이행정`에 대한 배신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각북면 주민들과의 실질적 협의 과정은 한 차례도 없었고, 이번 설명회도 사실상 결과를 통보하는 자리였다는 지적이다. 주민 B씨는 "공청회도 안 하고 설명회로 때우는 건, 이미 다 정해놓고 요식행위만 한 것"이라며 비판했다.군은 이번 사업을 통해 청도를 문화·예술·관광 허브로 만들겠다고 강조하지만, 정작 해당 지역 주민들은 "우리 땅에서 우리 의견이 사라졌다"며 강한 반감을 드러내고 있다.전문가들은 이런 방식이 향후 행정 신뢰도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경고한다. 주민과의 충분한 협의 없이 진행되는 대규모 예산 사업은 `밀실 행정` 논란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이에 청도군 관계자는 "향후 주민 의견을 반영할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겠다"고 밝혔지만, 설명회 이후 불거진 불신을 해소하기는 쉽지 않아보인다.    김병열 기자artmong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