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대구·경북선이 국토교통부 광역철도 선도사업 지구로 최종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선도사업 지구로 선정된 대구·경북선은 국토교통부에서 사전타당성용역을 다른 사업보다 우선 시행하고 그 결과를 기획재정부에 제출해 예비타당성조사 용역을 신청함으로써 사업을 조기에 추진할 수 있게 됐다.
대구·경북선은 지난달 5일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신규 사업으로 선정됐으며 총길이 61.3km, 사업비 2조444억원이 투입되는 노선으로 경부선(서대구)과 통합신공항 예정지, 중앙선(의성)을 연결하며 오는 2028년 개항을 목표로 추진 중인 통합신공항의 성공을 위한 최우선 현안으로 언급돼 왔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7일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신규 사업으로 반영된 지방 광역철도(11지구) 의견수렴 간담회에서 선도지구를 선정해 타 사업에 우선해 사전타당성용역을 시행한다고 밝히면서 경북도는 2지구(대구·경북선, 김천∼구미선)를 신청해 이번에 대구·경북선이 선정되는 성과를 이뤘다.
건설비의 30%와 운영손실비를 지차체가 부담하는 광역철도는 사업 추진 시 국토교통부와 지자체가 함께 의사결정이 이뤄지는 만큼 통합신공항 중심 경제권역 구상에 긍정적인 요인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경북도에서는 동해남부선(포항∼울산) 복선전철화 등 10개 사업에 사업비 1조 5705억원을 투입해 추진 중에 있고 3개 사업(포항∼울산, 동대구∼영천, 영천∼신경주)은 올해 마무리 해 개통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달 5일 확정 된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은 대구·경북선(서대구∼의성) 등 6개 사업 8조2258억원의 신규 사업과 전주·김천선(전주∼김천) 등 5개 사업 10조3808억원의 추가 검토사업 등 총 11개 사업 18조6066억원이 확정됐다.
특히 이번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은 비수도권 광역철도를 확대하고 지방 광역철도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 新거점화를 통해 지역경제 활력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마련될 전망이다.
이철우 지사는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이 중부권 거점공항으로 성공적 연착륙을 이끌어낼 대구경북선(서대구∼의성)이 조기에 추진돼 경북도의 백년대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