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방역을 자랑하던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11일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가 2000명을 넘어섰다.  4차 대유행이 날이 갈수록 기세를 더 하고 있다.  정부가 1개월 넘게 4단계 사회적 거리두기를 비롯해 강도 높은 방역 조치를 했음에도 확산세가 가라앉지 않고 있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문재인 대통령이 불과 이틀 전에 강화된 거리두기 연장을 언급하면서 "고강도 방역 조치로 급격한 확산세를 차단하는 데에는 분명한 효과가 있었다"고 평가했지만 현실은 다르다.  오후 6시 이후 3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를 비롯해 소상공인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라는 점을 알면서도 강행한 조치가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형편이다.  문제는 앞으로가 더 어렵다는 점이다. 확산 속도가 빠른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통제가 잘되지 않고 있다.  이번 주말에는 광복절 연휴와 이어지는 학교 개학 등으로 대인 접촉이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모더나 백신의 국내 도입 물량이 애초 계획의 절반 이하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호재보다 악재가 많다. 정부 입장에서는 `셧다운`을 제외하고 사실상 써 볼 카드를 다 꺼냈는데도 출구가 보이지 않는다.  국민도 답답하긴 마찬가지다. 대부분의 국민이 정부가 내놓은 방역 준칙을 따랐지만 결과는 신통치가 않다.  이를 풀어야 할 것은 결국 정부다. 다양한 노력에도 확산세가 잡히지 않았다는 설명만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말보다는 국면 전환을 가져올 구체화한 세부 조치가 필요하다.  문 대통령은 "국민의 협조와 방역 당국의 노력에도 확진자가 2000명을 넘어 우려가 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민의 협조를 당부하고 정부도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노력하는 바를 모르진 않지만 협조 당부와 의지만으로 4차 대유행, 나아가 코로나19라는 위기의 불씨를 꺼뜨리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거리두기 효과와 적용 기준을 원점에서 재검토하면서 2차 백신접종일 간격을 명확히 해야 한다.화이자·모더나 백신 2차 접종일이 16일 이후인 대상자의 접종 간격이 오는 9월까지 한시적으로 4주에서 6주로 늘어면서 병원이 휴진하는 추석 연휴에 2차 접종일이 배정돼는 상황이 발생해 당황하는 접종자와 병원이 생겼다. 연휴를 보내고 백신을 맞으면 사실상 접종 간격이 7주로 벌어져 백신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초등 3∼6학년과 중학교 교직원의 접종 간격은 당초 3주에서 5주로 연장되면서 상당수의 접종 완료시점이 개학 이후로 미뤄졌다. 접종 날짜가 겹치면 수업 파행 가능성도 있어 일선 현장의 혼란을 미리 예방해야 한다.  백신 접종 확대에 맞춘 방역대책 재편도 필요하다. 낮은 치명률을 유지한다는 전제 아래 `위드 코로나` 시대에서 경제를 살릴 방안도 함께 검토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