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지방소멸 위기에 대한 선제적 대응 전략 마련에 나섰다. 이를 위해 도는 9일 영상회의실에서 `지방소멸 대응 종합계획`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하고 각 분야 자문위원들과 지방소멸 대응 실행 방안에 대해 토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경북도 지방소멸대응 종합계획`은 광역자치단체로는 최초로 추진하는 용역으로 23개 시군의 인구 변화와 실태분석을 토대로 경북 지방소멸 대응 방향 등 연구 내용에 대해 중간보고를 했다. 경북도 인구구조 변화를 살펴보면 △구미와 경산을 제외한 21개 시군이 데드크로스(사망자수>출생자수) 진입 △자연·사회적 인구 감소 요인에 따른 생산 가능 인구 급감과 고령화 가속화 △인구 규모가 작은 시군의 인구 감소 고착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좋은 일자리 부족 및 우수 인력 유출, 이용 주민 감소에 따른 의료·문화·복지·교통 등 생활편의서비스 수준 저하, 빈집·폐교·폐점포 등 유휴 자원 확대로 인한 마을 공동화 등 악순환으로 지방소멸 위기 가속화 문제가 제기 되고 있다.
이러한 지역소멸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방소멸 대응 종합계획을 통해 `활력 넘치는, 삶의 질과 만족도가 높은 매력적인 경북`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전략별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자문위원들에게 자문을 구하고 토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자문위원들은 인구 감소지역에 △중앙-지방 공동 대응 전략 △지자체 간 상생협력 사업 △지역 주도 정책과제 제안 △지역 주도 지방소멸 대응 종합대책 수립 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상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박사는 "접근성이 떨어지는 소멸위험지역의 돌봄-복지 서비스 수요를 인근 시군이 협력해 종사자를 발굴하고 양성한다면 사회적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박승규 박사는 "지자체 간 경계를 넘어 복지·문화·안전·환경·교통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상호 협력해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미홍 토지주택연구원 박사는 "지자체 상황에 적합한 두 지역 살기 모델 개발과 다양한 도농교류 정책 등을 통해 생활(관계)인구를 증가시켜 지역에 활력을 불러올 수 있다"고 전했다.
도는 자문위원들이 제시한 의견과 중간보고 연구의 미비점 등을 보완하고 구체적인 지방소멸 대응 전략 등을 마련해 올 11월까지 `경북도 지방소멸 대응 종합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강성조 도 행정부지사는 "고령화와 청년층 수도권 유출 등에 따른 지역의 인구감소는 피할 수 없다"면서 "이번 종합계획 수립을 통해 소멸위기와 변화하는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 모델을 발굴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