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와 경북도독립운동기념관에서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위해 헌신했지만 기록이 현존하지 않거나 자료가 부족해 아직까지 국가로부터 서훈을 받지 못하고 묻혀 있던 독립운동가 58명을 올해 상반기 추가로 발굴해 이 중 30명을 국가보훈처에 서훈 등 포상을 신청했다고 9일 밝혔다.  경북은 일제강점기 때 독립운동이 가장 활발했던 지역으로 독립유공자가 2340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지만 아직도 그 공로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독립운동가가 많이 존재한다.  이에 광복 이후 76년이 지난 지금까지 서훈을 받지 못한 독립유공자를 발굴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발굴과 조사 작업을 벌였으며 지난해에는 총 81명을 발굴해 국가보훈처에 37명을 포상 신청했고 올해는 상반기에만 58명을 발굴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번에 포상을 신청한 독립운동가는 3.1운동에 나섰던 김응상(金應相, 영덕, 1880∼미상) 등 영덕(13명), 봉화(6명), 문경(4명), 예천(2명), 경주·청송·청도·포항(영일)·경산(1명)이며 이들의 독립운동 내용은 3.1운동 22명, 국내항일 6명, 사회주의운동 1명, 학생운동 1명 등이다.  한편 지난해 신청자 중에서 `1944년 8월 충남 조치원역과 천안역 사이의 북행열차에서 조선총독부의 강제 공출과 조선인 청년에 대한 징병 등을 비판하고 9월 강제징병을 거부하다 체포돼 징역 3년`을 받아 옥고를 치른 구미 출신의 김구하(金龜河, 1924∼미상) 선생이 건국포장을 추서 받는 등 5명이 독립유공자로 선정됐고 나머지는 현재 국가보훈처의 심사가 진행 중에 있다.  정진영 경북도독립운동기념관 관장은 "지속해서 경북의 독립운동가를 찾아내 당당히 독립운동가로서 후세에 길이 남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김진현 도 복지건강국장은 "독립운동의 성지인 경북에서 적극적으로 독립운동가들의 공적을 찾아 그 얼을 기리고 나라사랑과 희생정신을 보훈정책에 반영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