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재정적자가 30조1000억원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거래가 늘고 지난해 납부유예된 영세 개인사업자의 소득세 납부 등으로 국세 수입이 늘었지만 여전히 총지출이 더 많았다.  다만 지출 증가폭보다 수입 증가폭이 더 크게 나타나면서 재정수지 적자폭은 15조2000억원 줄었다. 기재부는 "적극적인 재정 지출에도 총수입의 증가세로 적자폭이 줄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기획재정부가 펴낸 `월간 재정동향 5월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총지출은 182조2000억원, 총수입은 152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로써 1분기 통합재정수지는 30조1000억원 적자로 전년 동기(45조3000억 적자) 대비 적자폭이 15조2000억원 줄었다.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사회보장성 기금을 빼 정부의 실질 재정상태를 나타내는 관리재정수지는 1분기 누계 48조6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이 역시 적자 폭이 전년보다 6조7000억원 개선됐다.  1분기에는 총수입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적자폭을 줄일 수 있었다. 1분기 총수입은 152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진도율이 6.5%p 상승했다.  특히 소득세·법인세·부가가치세 등 국세 수입이 88조5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9조원 늘었다. 한 해 걷으려는 세금 목표 중 실제 걷은 금액의 비율을 나타내는 진도율은 31.3%로 전년 대비 6.9%p 상승했다.  이 중 소득세(28조6000억원)는 지난해 11월 시행됐던 영세개인사업자 납부유예에 따른 유예분 납부, 부동산 거래량 증가로 인해 6조4000억원이 늘었다. 기재부에 따르면 이 중 부동산 거래량 증가에 따른 증가가 전체 절반 가량인 3조원, 납부유예에 따른 증가가 1조2000억원 정도라고 설명했다.  법인세(20조2000억원)는 지난해 기업의 영업이익 증가로 인해 작년보다 4조8000억원이 더 걷혔고 교통세 납부유예분과 증권거래대금 증가 등도 전체 국세 수입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세외수입과 기금수입도 전년 대비 늘었다. 세외수입(10조1000억원)은 한국은행 잉여금 증가와 우정사업수입증가로 전년대비 진도율이 2.7%p(1조5000억원) 늘었고 기금수입(53조5000억원)은 기여금 수입과 재산 수입의 증가 등으로 6.4%p(12조10000억원) 많아졌다.  예산의 경우 특고·프리랜서 등 고용취약계층 대상 긴급고용안정지원금이 5000억원, 저소득·청년구직자 취업지원서비스지원 사업 2000억원 늘면서 전년대비 진도율이 0.3%p(2조5000억원) 상승했다.  기금은 코로나 방역조치와 매출감소 등으로 경영위기에 처한 소상공인 지원사업(3조3000억원)의 집행으로 인해 14조9000억원이나 늘었다. 전년대비 진도율은 6.1%p 상승했다.  1분기 실직자 대상 구직급여는 전년대비 7000억원 늘어난 3조2000억원이 지원됐다. 청년 추가 고용시 인건비를 지원하는 청년추가고용장려금은 7000억원, 고용유지지원금은 4000억원이 각각 집행됐다. 그러나 1분기 실질 GDP 성장률은 1.6%였는데 이 중 0.3%p가 정부기여도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