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최근 3년간 카바페넴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세균병원체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카바페넴 내성(CRE) 감염증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항생제 오남용 방지와 의료기관 내 항생제 내성균의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의료기관에 대한 감염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지난 2018년부터 도내 의료기관 및 보건소와 연계해 CRE 세균의 인체 감염을 모니터링 해오고 있으며 최근 3년간 도내에서는 2018년 265건에서, 2019년 476건, 2020년에는 611건의 CRE 세균의 인체 감염이 확인되는 등 급격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국적으로도 CRE 세균 감염환자 건수는 지난 2018년 1만1954건, 2019년 1만5369건, 2020년 1만7992건으로 지속적인 증가추세이고 2020년도에 전국에서 발생한 CRE 감염환자들 중 61.2%가, 경북의 경우 77.6%가 70세 이상으로 나타나 고령층에 대한 카바페넴 항생제내성균의 감염관리가 중요하다.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은 2급 법정감염병으로 분류된다. 카바페넴 항생제는 요로감염증, 폐렴 및 패혈증 등 다양한 감염성 질환의 치료에 이용되는 최후의 항생제라 불리며 카바페넴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경우 다른 항생제에 동시에 내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아 기존 항생제 치료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CRE 병원체는 환자 등 병원체 보유자와의 접촉이나 병원 내 오염된 기구, 물품, 환경표면을 통해 전파가 가능하며 CRE 중에서도 전파력이 강한 `카바페넴분해효소생성 장(腸)내 세균속균종(CPE)`은 항생제내성 유전자를 다른 세균에게도 전파할 수 있어 의료진과 주위 사람들에게도 감염시킬 우려가 있다.  경북도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지난해에 CRE 감염증 환자로부터 채취된 검체 786건 중 633건에서 내성 전파가능성이 높은 카바페넴분해효소생성 장내세균속균종(CPE)을 확인했다.  백하주 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항생제 내성균의 확산 방지를 위해 사람뿐 아니라 양식어류, 축산물에 대한 적절한 항생제 사용과 병원체 인체 감염관리 인프라 구축, 의료기관 표준예방지침 준수 등을 실천해야 한다"고 밝혔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