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52명의 청년참여단이 4주간의 토론 끝에 도출한 `2040 대구플랜 미래상 제안서`를 시정에 적극 반영해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한다.
청년참여단이 제안한 2040년 대구의 미래상은 `성장으로 혁신을, 여유로 행복을 잇는 도시`이다.
△인싸대구 △모두를 잇는 교통도시 △혁신 산업도시 △문화도시 △쾌적한 안전도시 등의 키워드를 담고 있으며 혁신을 통해 시민들이 행복한 미래도시를 구현하고자 하는 비전을 제시한다.
이번 청년참여단은 2040년 대구시의 중추가 될 2030세대의 목소리를 도시계획에 직접 반영하기 위해 기획됐다.
총 150여명의 신청자 중 공모를 통해 선발된 52명의 청년참여단이 △도시 △교통 △경제·산업 △문화·복지 △환경·안전의 5개 분과로 나눠 활동했다.
이들은 지난 6월 11일 창단식을 시작으로 4주에 걸쳐 `대구 어때?`(1주차), `대구는 이랬으면`(2주차), `대구는 말야!`(3주차), `나의 대구미래` (4주차)라는 주제로 분과별·전체 토론을 진행했고 지난 9일 폐회식에서 최종 미래상을 대구시에 전달했다.
(도시분과) 도시분과는 `인싸 대구 만들기`를 목표로 MZ세대의 감성을 반영한 대구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특색있는 대구 △균형잡힌 대구 △청년이 살기 좋은 대구를 제안했다.
(교통분과) 교통분과는 `모두를 잇는 빠르고 푸른 교통도시`를 비전으로 삼았다.
현재와 미래를 잇는 교통수단 간의 유기적 연결성과 친환경 교통체계 구축을 위해 △교통 소외 없는 도시 △광속 이동이 가능한 도시 △친환경 교통 친화 도시를 제시했다.
(경제·산업 분과) 경제·산업 분과는 `청년창업과 일자리를 키우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혁신 산업도시`를 목표로 설정했다.
청년층의 가장 큰 관심사인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창업을 위한 실험실 공간 조성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담 기구 설치 △고부가가치 산업단지를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 등을 전략으로 내세웠다.
(문화·복지 분과) 문화·복지분과는 `대구, 문화를 품고 경제를 짓다`를 목표로 삼았다.
이들은 즐길거리가 넘치는 문화·예술 인프라 구축과 모든 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복지 정책이 필요하다고 보고 △모두의 대구 △지역특화 콘텐츠 개발 △세대 통합형 정책 개발 등 세부 전략을 제시했다.
(환경·안전 분과) 환경·안전분과는 `하천과 숲의 조화로 쾌적하고 안전한 도시`를 비전으로 제시했다.
시민들의 일상과 직결되는 환경과 안전을 위해 △하천과 숲·그늘·바람이 함께하는 도시 △보이지 않는 위험까지 대비하는 안전도시 △5분 안에 닿는 녹색공간을 제안했다.
대구시는 이러한 제안을 `2040 대구플랜`에 적극 반영할 예정이며 향후 주민공청회와 시의회 의견 청취, 국토교통부 등 관계기관 협의 및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 행정절차를 거쳐 내년 상반기에 확정·공고할 계획이다.
허주영 도시주택국장은 "기존의 전문가 중심의 도시계획 수립 방식에서 벗어나 미래 도시의 주인인 2030 청년들이 직접 참여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청년들이 꿈을 키워가는 대구시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강두완 기자backer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