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무더위가 찾아오면서 더위에 취약한 채소류 가격이 오름세다. 1년 전인 지난해 여름과 비교하면 아직은 낮지만 최근 한 달 동안의 급등세는 이상 징후라는 지적이다.  특히 지난해 높은 가격에 `금배추` 현상을 불러왔던 배추는 최근 이상 기온에 재배 면적 감소까지 겹치면서 가격 불안이 예상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2일 기준 배추 1포기 평균 소비자 가격은 3688원으로 한 달 전보다 20.9%(637원) 올랐다.  평년 가격과 비교하면 아직 안정적이지만 최근의 상승세는 매우 급격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무더위와 장마철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등 기상 여건으로 인해 가격이 강세인 것으로 보인다.  배추뿐만 아니라 여름철 더위에 취약한 노지채소류의 가격이 전반적으로 오름세다.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2일 기준 시금치(100g) 가격은 1002원으로 한 달 전보다 49.6% 치솟았다.  △대파(1㎏) 36.0% △열무(1㎏) 17.8% △적상추(100g) 17.0% △양파(1㎏) 8.4% △오이(10개) 7.8% 등도 가격이 뛰었다.  특히 배추의 경우 올해 여름에는 생산량이 줄어들어 가격이 지금보다 더욱 뛸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배추 재배 면적은 3418ha로 평년(최근 5년 평균) 대비 23.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올해 배추 생산량은 23만6000t으로 평년 대비 24.4%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올해 배추 재배 예상 면적(3418ha)은 배추 가격이 과도하게 뛰어 `금배추`로 불렸던 지난해 재배 면적(3747ha)보다도 8.8% 작다. 기후 변화로 생산량이 예상보다 줄어들 경우 지난해의 가격 이상 급등 현상이 다시 반복될 수 있는 것이다.  정부는 비축량 확보 등을 통해 여름철 농산물 수급에 집중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달 18일 농식품 수급 및 유통구조 개혁 TF를 구성해 수급 안정 및 구조 개선 대책을 빠르게 마련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고랭지 지역 재배 확대 및 생육관리 지원 △사전 수매계약 체결 △봄배추 수매비축 물량 확대 △일시적 공급부족 대비 비상공급 체계 유지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최근 수입량도 늘어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배추의 경우 지난해 수입량은 4168t으로 전년(164t) 대비 25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파도 2만 4000t 수입해 3배 늘었다.    대형마트업계는 최대한 가격 인상 폭을 낮추고 있다. 특히 이달 중순부터 정부의 농산물 할인지원 사업과 연계해 대대적인 할인 행사에 나설 계획이다.  이마트의 경우 오는 4일부터 6일까지 상추·깻잎·쌈채소 전 품목을 `2+1`으로 판매할 예정이다. 정상가 1380원인 애호박도 990원에 판매한다. 4일부터 10일까지는 알배기배추(1봉·국내산)를 30% 할인하고 무(1개)도 신세계포인트 적립 시 20% 할인한다.  롯데마트는 이달 3일부터 9일까지 감자(2㎏·국산)를 20% 할인하고 청양고추(150g)와 오이맛 고추(200g)도 2봉 이상 구매 시 500원 할인한다. 홈플러스도 5일부터 6일까지 △모둠쌈 채소(300g) 2990원 △대파(1단) 1990원 △양파(1.7㎏) 2990원에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폭염 등 이상 기온으로 인해 가격 상승 폭이 더 커질 수 있어 비축량 확보에 나서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