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 동안 북한을 탈출해 국내로 입국하는 탈북민의 수가 급격히 증가해 우리 주변에서도 그들을 쉽게 만날 수가 있다. 그러나 `탈북민`이라는 주변의 따가운 시선과 사회주의 체제가 몸에 배어있는 이들의 삶은 평범하지 않다. 그 중 일부는 국내에 정착하지 못하고 재입북하거나 범죄를 저지르는 등 크고 작은 일에 휘말리기도 한다.  이에 북한이탈주민의 안전과 조기 정착을 위해 민관 차원의 다양한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정부에서는 탈북민이 조기 정착할 수 있도록 교육, 정착금, 주거, 취업지원 등 다양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민간 차원에서도 대한민국에 정착해 생활하면서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민관 차원의 다양한 법과 제도, 지원 정책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정착을 어렵게 하는 것은 같은 생활공간에 살고 있는 우리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탈북민은 `그냥 북한 사람`, `어려운 사람`, `사회 부적응자`, `우리와 다른 사람` 등 다양한 선입견에 사로잡힌 채 색안경을 착용하고 그들을 바라보는 것이 아닌가 한다.  통일부는 지난해 7월 14일을 `북한이탈주민의 날`로 지정해 우리 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따뜻한 사회 환경을 조성하고 탈북민 스스로 역량을 축적해 우리 사회 통합의 기여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법정기념일로 지정했다. 제정 목적은 모두가 편견 없이 그들을 바라보고 따뜻한 마음과 진심으로 진정한 사회공동체로 만들기 위해서이다.  주변 사람들의 관심과 배려 덕분에 국내 생활에 잘 적응해 사회의 필수 구성원이 된 사람들도 많다.  이제 그들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이 아닌 작은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