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은 9일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방사성폐기물의 안정적 처리를 위해 독자적으로 개발한 플라즈마 처리설비가 2083시간(누적) 안정 운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플라즈마 처리설비는 번개와 같은 전기아크 현상을 이용해 1600℃ 이상의 열을 내는 것이다.  이 설비는 일반 산업계에서는 금속 절단 및 나노소재 개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한수원은 이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용으로 지난 1996년부터 개발을 해왔다.  플라즈마 처리기술을 활용하면 금속, 콘크리트, 토양, 석면 등 방사성폐기물을 용융시켜 부피를 약 1/5 이상으로 줄일 수 있다.  한수원은 약 4.9t의 비방사성폐기물을 모의로 제작, 지난 2022년부터 올해 6월 말까지 실증시험을 진행해 최장 연속운전은 140시간, 누적 2083시간을 기록했다. 국내 방사성폐기물 처리 분야에서 플라즈마 처리설비가 2000 시간 넘게 운영된 것은 이번이 최초다. 서경규 기자seoul1411@hanmail.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