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기 복무 전역한 제대군인의 돈은 길에 떨어진 눈먼 돈이라는 말을 10년 전 의무복무 시절 상관에게서 들었다. 농담처럼 했던 말이었겠지만 필자에게는 그 당시 제대군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어떤지 느낄 수 있는 강렬한 경험이었다.  10년이면 강산도 바뀐다고 제대군인지원에도 변화가 있었다. 국가보훈처는 국가보훈부로 승격했고 지난 2021년부터는 제대군인에 대한 존경과 사회복귀 지원에 대한 공감대 형성 등을 위해 `리;스펙 제대군인`이라는 슬로건 또한 브랜드화했다.  올해는 군인연금 비대상인 중·장기복무 제대군인에게 구직급여 명목으로 지급하는 전직지원금을 10% 인상해 중기복무자에게는 월 55만원, 장기복무자에게는 월 77만원을 최대 6개월 동안 지급한다.  물론 사회는 이러한 변화에 대해 마냥 긍정적으로만 바라보지 않을지도 모른다. 필자 또한 새내기 공무원으로 제대군인지원센터에서 근무하기 전까지는 이러한 지원에 부정적 관점을 가지고 있었으니 말이다.  그러나 제대군인에 대해 조금만 생각해보면 이러한 지원은 그들에게 있어 최소한의 지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장기복무 후 제대를 하게 되면 대부분의 제대군인이 군인연금 대상자가 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군인연금 대상이 되려면 19년 6개월 이상 복무해야 하며 고용보험 비대상이기에 실업급여도 받지 못한 채 전역하게 된다.  계급 정년제도라는 군 조직의 특수성 때문에 의지와 무관하게 군인연금 수령 가능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전역하는 경우가 많을 수밖에 없다.  전역 후에도 취업역량 향상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지만 군과 민간의 업무 특성이 다르기에 군에서는 탁월한 인재임에도 불구하고 전직(轉職)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국가보훈부는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전국 10곳에 제대군인지원센터를 두고 기업협력을 통한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함과 동시에 제대군인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그러나 손뼉도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는 옛말처럼 제대군인 취업은 제도적 지원과 동시에 꾸준한 사회적 관심과 지지가 필요하다.  우리가 오늘도 평화로운 일상을 보낼 수 있는 것은 국가수호를 위해 젊음과 열정을 군에 쏟는 국군장병들과 제대군인 덕분이라고 생각한다.  제대군인에 대한 지원과 사회적 관심은 제대군인뿐만 아니라 현재도 국토방위에 힘쓰는 국군장병의 사기는 물론 국방력과도 직결되는 문제라 생각해 그들이 안정적으로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따뜻한 응원과 함께 한 해를 시작하는 것은 어떨까.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