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가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에 성공함에 따라 정부의 전방위적 지원과 함께 포항만의 차별화되고 내실화된 전략을 통한 `전지보국` 실현으로 세계적인 이차전지산업 허브 도시 도약에 날개를 달아 `대한민국 혁신 시대`를 열 방침이라고 25일 밝혔다.  포항 영일만산단과 블루밸리국가산단 1144만㎡ 일원이 `이차전지 양극재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됨에 따라 배터리 핵심소재 양극재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대대적이고 다양한 정책 지원이 주어진다.  정부의 주요 지원은 △산단 입지·인프라 확보 △세제 혜택 △R&D 및 글로벌 사업화 촉진 등이 핵심이다.  세부적으로 용수·도로 등 핵심 시설 구축과 인허가 신속처리(통보기간 30→15일 단축 등)가 지원되고 이차전지기업 시설 투자 세액공제율 상향(최대 35%)과 용적률 1.4배 상향에 따른 부지 활용도 증대 등 세제 해택이 주어진다. 또한 정부 R&D 예산 우선 반영 및 인력양성 지원, 킬러 규제 혁파 등 다양한 정부 차원의 지원을 받게 된다.  포항시 관계자는 "특화단지 지정에 성공함에 따라 기업 유치 및 입주기업 혁신성장 가속화, 인력양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매출 증가 등 획기적인 지역경제 활성화가 기대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설명했다.  포항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이차전지 산업 육성과 생태계를 구축하며 이차전지 종합관리센터, 포스텍, 포항산업과학기술연구원 등 우수한 R&D 및 인력 양성, 최적의 기업 활동 여건을 바탕으로 전주기적 밸류체인 구축해 오는 2027년까지 14조원의 기업투자가 약속돼 있으며 특화단지 지정을 통해 더욱 많은 기업 유치와 혁신산업 생태계 조성에 날개를 달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포항시가 글로벌 이차전지 소재 시장을 선도할 기술 개발과 전후방 밸류체인 연계, 공급망 확보 등을 통해 대한민국 `경제 안보` 확립을 위한 `소재 자립화` 구상 실현도 특화단지 유치로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시는 오는 2030년까지 배터리 성능과 가격 등을 좌우하는 핵심소재 양극재 100만t 생산 및 매출 70조원(전체 소재 매출 포함 100조원)의 비전과 목표 달성에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부가적인 산업 연계성까지 감안하면 이번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으로 생산 23조3418억원, 부가가치 9조5590억원, 취업 5만6798명 등의 경제유발 효과가 예상되고 있다. 포항시는 경북도 등과 함께 힘을 합쳐 포항을 `세계적인 이차전지 핵심소재 공급기지`로 조성하겠다는 비전 하에 3대 추진 전략, 9대 세부 실행계획을 순조롭게 추진해 포항만의 혁신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3대 추진 전략은 △지속가능한 인프라 구축 △초격차 기술 개발 및 인력양성 △건실한 산업생태계 확립이며 이를 위한 실행계획은 산학연 연계 양극소재 설계·제조·공정 원천기술 개발, 양극재산업 전후방 밸류체인 구축, 타 클러스터 연계 대중소 협력체계 구축, 친환경 산단 조성 등이다.    이를 위해 포항시는 앞으로 경북도와 `전지보국 T/F`를 구성·운영해 체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아울러 `세계 최대 이차전지 소재 메가클러스터`, `이차전지 소재 MOTHER FACTORY` 건립 등을 순조롭게 추진해 대한민국 경제를 이끌 이차전지 산업 육성에 전력을 다할 방침이다.  이강덕 시장은 "포항을 넘어 대한민국의 산업지도를 새롭게 그려 희망찬 미래를 열 에너지 혁신산업이 특화단지 지정으로 한 층 탄력을 받게 됐다"면서 "제철보국에 이은 `전지보국`으로 대한민국 산업 경쟁력 강화에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최연태 기자cyt4568@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