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군농업기술센터는 올해부터 최고품질쌀로 선정된 영호진미(2018년)와 미소진미(2020년) 품종의 재배면적(5000ha)을 확대하면서 고품질 예천쌀 생산을 위한 `7월 본답 관리 기술`을 소개했다.
먼저 품종에 따라 시기적절한 `물때기`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소진미`는 중만생종, `영호진미`는 만생종으로 `미소진미`는 7월 초중순, `영호진미`는 7월 중하순 중간 물떼기를 시행한다.
잦은 강우가 지속되면 5~7일간 논바닥이 갈라질 때까지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고 8월에는 물을 충분히 공급하고 물 걸러대기를 해 뿌리 활력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출수 15일 전 이삭거름을 살포하는데 `미소진미`는 7월 하순, `영호진미`는 8월 초순에 실시하며 다만 모내기 때 완효성 비료를 사용하면 이삭거름을 생략하거나 염화가리를 살포(염화가리 5kg/10a)해 도복 저항성을 증대시키는 게 좋다.
특히 7월 질소질 비료가 과다하면 잎도열병이 발병하므로 초기 적절한 방제를 해 출수기 이후 이삭도열병으로 전이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성백경 센터 소장은 "예천에서 30년간 재배된 일품벼를 고품질 품종인 `미소진미`, `영호진미`로 대체하기 위해 보급을 추진하고 있다"며 "농가들이 새 품종에 대한 혼란이 없도록 재배기술을 신속히 보급하겠다"고 말했다.
정성수 기자power515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