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물가와 다르게 쌀값이 폭락해 농업인들이 비상이다. 폭등하는 물가와 세계 곡물 가격 상승에도 유독 국내 쌀값은 지속해서 떨어지면서 하락 폭이 45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농민단체는 지난 11일 정부에 "수확기 쌀값 안정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으며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한농연)는 이날 성명에서 `소비감소와 경기침체로 물가가 급등하는 상황에서 쌀값만 지속해서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농연은 "농업 현장에서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정부의 정책 실패가 반복될 것이라는 불안이 확산하고 있다"면서 "세 차례에 걸친 쌀 시장격리에도 불구하고 재고 과잉이 해소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민간의 노력만으로 쌀 산업을 정상화하기는 어렵다"라며 "정부가 대책 없이 쌀값 하락세를 방조하면 쌀 농가는 생존권 사수를 위한 투쟁으로 맞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난 5일 기준 산지 쌀값은 20㎏당 4만3093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23% 폭락했다. 소비감소와 경기침체로 물가가 급등하는 상황에서 쌀값만 지속해서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원재룟값과 관리비용이 크게 오른 상황에서 쌀값 폭락은 농업인의 부채를 크게 증가시키게 된다. 농업인의 경제적 파탄은 농협 등 금융기관의 부실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들의 재기와 시스템 복구를 위해서 결국 막대한 공적자금이 투입될 수밖에 없으므로 국민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더불어민주당과 문재인정부는 지난해 12월 28일 쌀값 안정을 위해 초과생산량 27만t 중 20만t을 우선 시장격리하고 이어 나머지 7t을 추가 격리조치했다. 하지만 시장격리 시점이 지연되고 물량도 적어 쌀값 하락을 막는 데 역부족이었다.  정부가 적절한 쌀 추가 시장격리 물량을 설정했는지도 의문이다. 농업인의 파탄은 농업생산체계의 붕괴로 이어져 나중에는 쌀값 폭등 현상이 나타난다. 붕괴된 농업생산체계는 단기간에 복구되지 않으므로 그사이에 국제 곡물값이 상승할 경우 국내 곡물값은 천정부지로 치솟게 된다.  세계적 기후변화와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같이 국제 곡물값을 단번에 끌어올릴 변수는 부지기수다.  특히 우리나라는 북한리스크가 상존해있고 정세가 불안할 때를 틈타 매전매석을 일삼는 풍조까지 사회에 만연한 만큼 쌀값 폭등이 사회적 폭동으로 변할 위험성도 매우 높다.  따라서 정부와 지자체와 농협은 최근 농민단체들이 요구하는 `수확기 쌀값 안정책`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최근 정부가 작년산 쌀 과잉공급분 37만t을 세 차례에 걸쳐 매입해 시장에서 격리하고 있지만 이 정도로는 어림도 없다는 진단이다.  농민단체에서는 △쌀 6개월분 비상식량(180만t) 항시 비축 △비상식량 농민 가격 결정권 보장 △양곡관리법에 비상식량 매입 의무 내용 명시 △농산물 가격 결정권을 포함하는 농민 기본법 제정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  쌀소비자인 국민들도 쌀소비에 대한 대대적인 인식변화를 해야 한다. 쌀 100g을 밥 한 공기로 환산하면 220원 수준이다. 생산비에도 못 미치는 밥 한 공기는 보통 브랜드 커피 5000원의 23분의 1이고 3만원 시중 피자의 136분의 1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수확기 쌀값에 대한 안정책을 내놔야 한다. 정부는 비상식량 비축 프로그램을 즉시 실시하고 지자체들도 쌀값 안정과 쌀소비 촉진을 위한 직간접적인 모든 수단을 동원해 쌀값 안정화를 위한 중장기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 시행해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