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교육부의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최종 지정되며 지역 교육의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다.
이는 단순한 행정적 승인을 넘어 경주가 역사·문화·관광 산업과 미래차, 혁신원자력 등 첨단 산업을 연계한 미래형 인재 양성 도시로 도약할 제도적 기반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특히 지난해 예비지역 선정에 이어 `선도지역`으로 격상된 것은 경주시가 제시한 `정주형 미래인재 양성 모델`이 교육-산업-지역사회의 유기적 협력 가능성을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
이번 지정으로 경주는 △공공-민간 협력을 통한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유보·유초 연계 돌봄 체계 강화 △MICE(Meeting, Incentive, Convention, Exhibition) 산업 맞춤형 특성화고 지정 △경북형 마이스터고 육성 협약 등을 본격 추진한다.
특히 `경주시 인재뱅크지원센터` 설립을 통해 지역 인재의 교육부터 취업, 정착까지 아우르는 선순환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단순히 학생 수를 늘리는 것을 넘어 지역 산업 수요에 부응하는 실무 인력을 양성해 인구 유출과 지역 소멸 위기를 동시에 해결하려는 전략이다.
하지만 교육발전특구의 성공은 제도적 지정만으로 담보되지 않는다. 우선 재정·행정 지원의 지속성이 필수적이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예산 분담, 기업의 R&D 투자 유치 등이 뒷받침돼야 혁신 모델이 현장에 안착할 수 있다.
또한 청년층의 정주 여건 개선이 시급하다. 교육 인프라 확충과 더불어 주거·문화 시설, 일자리 창출 프로그램을 연계해 젊은 세대가 경주에 머물 이유를 만들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 현장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 이론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현장 실습, 산학 프로젝트 등 실용적 프로그램을 확대해 학생들의 역량을 실질적으로 끌어올려야 한다.
경주시가 `교육발전특구`로서 제 역할을 하려면 대학·기업·시민사회의 적극적 참여가 필수적이다. 지역 기업이 인재 양성 과정에 직접 관여하고 대학은 산업별 특화 커리큘럼을 개발하며 시민들은 교육 혁신을 지지하는 문화 조성에 앞장서야 한다.
더 나아가 이번 사업을 단기 실적 위주의 프로젝트가 아닌 장기적 도시 재생 전략으로 삼아야 한다.
교육 혁신을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그 성과를 다시 교육에 재투자하는 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지속 가능한 발전이 가능하다. 경주시의 교육발전특구 지정은 지방소멸 위기 속에서 교육이 지역 회생의 열쇠임을 증명한 사례다.
그러나 이제는 구체적 실행 단계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내야 한다.
교육부와 경주시, 지역사회가 긴밀히 협력해 혁신적 교육 모델을 정착시키고 청년과 기업이 모이는 활력 넘치는 도시로 변모하길 기대한다.
"교육이 도시를 살린다"는 말이 경주를 넘어 전국의 지방정부에 울림이 되도록 이번 지정이 신호탄이 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