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23일 자로 영천 청통면 치일리에 소재하고 있는 `영천 인종대왕 태실`이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 예고된다고 밝혔다.
영천 인종대왕 태실은 태실봉안 의례에 따라 지난 1521년(중종 16)에 처음 설치됐다가 인종이 즉위하면서 1546년(명종 1)에 가봉(加封)공사가 완료됐다.
이후 지난 1680년(숙종 6)에 개수를 거쳐 1711년(숙종 37) 태실비에 대한 재건이 이뤄졌다.
지난 1928년 일제강점기 때 조선총독부에 의해 태항아리 등이 서삼릉으로 이안되고 석물은 폐기돼 방치됐다가 1999년 발굴조사가 진행됐다. 이후 2007년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정비됐으며 현재는 태실 1기, 가봉비 1기 및 기타 석물로 이뤄져 있다.
가봉비의 앞면에는 `仁宗大王胎室`, 후면에는 `嘉靖二十五年五月日建`(1546년)이라고 새겨져 있어 태실의 주인과 태실비의 건립 시기를 알 수 있다.
영천 인종대왕 태실은 설치 과정과 내력을 알 수 있는 관련 기록이 비교적 자세하게 남아 있고 전체적인 조영기법과 구조 등이 조선왕실 태실 의궤의 내용에 부합할 뿐만 아니라 세부 장식이나 조각기법 등이 우수해 역사적·학술적·예술적·기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또 처음 설치된 이후 원래 위치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존하는 조선왕실의 태실 가운데 규모가 크고 문화유산으로서의 보편적 가치와 함께 완전성과 진정성도 구비하고 있어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된 `영천 인종대왕 태실`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최종 지정이 확정될 예정이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