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민들이 경주역 부지에 `행정복합타운`을, 나머지 부지에는 `관광자원`과 `시민휴식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경주시가 폐역·폐철부지 활용을 놓고 지난 4월 18일부터 4주 간 시민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경주시 폐철도부지 활용방안 관련 설문조사`에서 나온 결과다.  19일 경주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복선전철 개통으로 경주역을 포함한 17개 역이 기능을 상실하면서 축구장 52개와 맞먹는 37만㎡ 폐역부지와 중앙선 27.1㎞, 동해남부선 53.2㎞ 폐선부지가 유휴부지로 남게 됐다.  이에 시는 폐역·폐철에 대한 활용방안에 대한 다양한 시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추진했고 3151명이 참여해 응답자 85.7%가 폐철도 활용 사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63.7%가 경주역 부지에 시청사 이전을 원했고 동천~황성 2.5㎞ 구간 폐철도 부지는 응답자 65.3%가 현재 경주시가 추진 중인 `도시숲 조성사업`이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구체적인 활용방안에 대해서는 동해남부선은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자는 답변이 24.3%로 가장 많았고 중앙선은 공원 및 주민휴식공간이 20.5%로 가장 많았다. 반면 교통시설로 활용하자는 의견은 동해남부선 8.6%, 중앙선 11.7%에 머물렀다.  주요 폐역 별 활용방안을 묻는 질문에는 △서경주역은 공원 및 주민휴식공간(18.9%) △불국사역은 관광자원(14.5%) △입실역은 공원 및 주민휴식공간(18.2%)으로 집계됐다.  또 △모화역 △건천역 △아화역 △동방역 등도 공원 및 주민휴식공간으로 만들자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시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폐철도 예정부지 도시관리계획(정비) 및 개발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오는 23일 안강읍·강동면을 시작으로 △24일 도심권역 △27일 문무대왕면·감포읍·양남면 △28일 건천읍·산내면·서면 등에서 주민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주낙영 시장은 "폐철도·폐역 부지와 관련해 지금 당장 가시적인 성과물을 보여드리지 못해 송구스럽다"며 "잰걸음이라도 관련 절차를 차곡차곡 밟아 폐철도·폐역 부지가 주민 친화적인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