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 신임 사장 선임 절차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윤석열 정부의 `탈원전 백지화` 정책을 진두지휘할 수장 자리에 어떤 인물이 앉게 될지 이목이 쏠린다.  5일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7일 한수원에 신임 사장 선임 절차 개시를 요구하는 공문을 보냈다. 이에 한수원은 지난 3일 이사회를 열고 임원추천위원회를 구성해 신임 사장 선임 절차에 본격 착수했다.  임추위 구성 등 그동안의 절차를 봤을 때 신임 사장 선임까지는 2∼3개월가량이 걸릴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따라 이르면 오는 8월, 늦어도 9월에는 새 수장이 선임될 전망이다.  신임 사장 후보로는 산업부 출신 관료 중에선 최태현 김앤장 고문(전 산업통상자원부 실장)이 언급된다. 업계에서도 최 고문을 후보로 꼽고 있다. 이와 함께 김준동 전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 우태희 전 산업부 차관도 물망에 오른다. 문재인 정부의 마지막 차관을 지낸 박기영 전 산업부 차관도 거론된다.  한수원 내부 출신 중에선 김범년 발전부문 부사장, 이종호 전 한울본부장 등도 물망에 오른다. 조병원 품질본부장과 이승철 전무 등 현직 간부들도 후보군에 언급되고 있다. 하마평에 오르는 인물들 대다수가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 시절 에너지정책을 이끌었던 인물들이다.  새 정부가 원전 최강국 건설을 목표로 한 에너지정책을 펼칠 예정인 만큼 한수원의 신임 수장은 원전 수출 확대를 비롯해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원전 계속운전 등의 과제를 수행해 나가야 한다.  이 때문에 한수원 내부에서는 산업부 관료 출신이 내정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내부 사정에 밝은 관료 출신이 산업부와의 호흡을 비롯해 조직 재정비 등 리더십을 펼칠 것이라는 기대감에서다.  한수원에 이어 한국가스공사도 신임 사장 선임 절차에 돌입하는 등 에너지 공기업 CEO들의 `물갈이 인사`에도 시동이 걸리는 모양새다. 가스공사는 채희봉 사장의 잔여 임기가 2개월가량밖에 남지 않아 지난달 임추위를 구성하고 새로운 사장 선임에 나섰다.  특히 에너지 업계에서는 채 사장과 정재훈 한수원 사장의 후임자 선정 작업이 임기 만료에 따라 이뤄지고 있지만 문재인 정부에서 에너지 전환 정책을 주도했던 공과를 볼 때 사실상 새 정부의 정책을 실현할 수 있는 `물갈이` 작업이라는 시각으로 보고 있다.  실제 가스공사는 새 정부의 `에너지 안보` 기조에 맞춰 천연가스 수급 안정성을 강화해야 하는 과제를 풀어가는 한편 청정수도 도입과 수소사업의 핵심 기술 확보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한국전력의 경우는 최악의 적자난에 빠진 만큼 경영 정상화를 위한 체질 개선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다만 채 사장과 정 사장을 제외한 에너지 공기업 기관장의 임기는 대다수가 2년여 남아 있다. 정승일 한국전력 사장의 임기는 오는 2024년 5월 31일까지다. 5개 발전사는 동서·중부·남부·남동·서부발전 사장들의 임기도 2024년 4월 25일까지다. 한국석유공사와 대한석탄공사도 2024년 6월·11월까지다.  김희동 기자press88@hanmail.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