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신학기가 시작됐다. 학부모와 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은 무엇일까? 학생의 본업인 학업도 물론 중요하지만 `우리 아이가 친구를 잘 사귈 수 있을까`, `혹시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해 학교폭력에 시달리지 않을까`라는 우려와 걱정이 아닐까 싶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불안을 느끼는 증상을 새학기증후군이라고 부른다. 새학기 증후군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원인이 인간관계로 인한 스트레스라고 한다. 익숙했던 환경을 벗어나 새롭고 낯선 환경에서 새로운 친구를 사귀는 일, 새로운 인간관계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요소이다.    만약 우리 아이들이 새로운 환경과 사람에 대해서 거부 반응이 나타나거나 매사에 의욕이 없고 몸이 아프다며 학교에 가고 싶지 않다는 생각 또는 말을 자주 한다면 이 증후군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 이런 새학기 증후군이 곧 학교폭력의 전조 증상이 될 수 있다.    `학교폭력`이란 학교에서 학생 간 일어나는 폭력이다. 다시 말해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른 정의는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상해, 폭력, 협박, 모욕, 강요, 강제적 심부름, 사이버 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폭력 등 신체·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주는 행동 모두를 포함한다.  2021년 교육부에서 발표한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 간 학교폭력 피해유형에는 언어폭력(41.7%), 집단따돌림(14.5%), 신체폭력(12.4%), 사이버폭력(9.8%) 등 순이며 `언어폭력`은 초등학교에서, `사이버폭력`은 중학교에서 응답 비중이 가장 높았다.    학교폭력 목격 후 `알리거나 도와줬다`는 응답은 69.1%로 2020년 조사 대비 5.6% 증가하였으며 목격 후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는 응답은 29.9%로 2020년 조사 대비 4.7% 감소했다.    이는 학교폭력에 대한 학생·학부모의 적극적인 신고와 사회적인 경각심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로 보인다. 이처럼 학생들에 대한 보호자 및 관계자의 지속적 관심이 앞으로도 계속 필요하다.    안동경찰서는 신학기를 맞아 오는 2일부터 다음 달 29일까지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선도·보호 활동을 집중 추진하고 있다. 코로나19로 변화된 교육환경에 맞는 메타버스 등을 활용한 비대면 범죄예방교육 활성화 및 카카오톡 안동경찰서SPO(학교전담경찰관) 채널을 통해서 상시 학생들의 고민 상담을 진행, 신종 학교폭력 유형과 예방법, 청소년 지원기관 등을 안내하고 있다.    2022년은 `검은 호랑이의 해`이다. 우리의 옛 조상들은 호랑이를 우리를 보살펴주는 산신령, 산군으로 여겼다고 한다. 올 한해는 산신령의 가호로 학교폭력이 근절되는 한해가 되기를 꼭 소망해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