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방자치단체가 전기차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지만 지자체마다 보조금액이 천차만별이라 내가 받는 보조금은 얼마인지 궁금해진다.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에서 울릉군의 올해 전기차 보조금이 최대 1800만원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최대 900만원이며 부산시는 최대 1050만원이다.
올해 전기차 보조금은 차종별 최대 보조금액을 낮춰 보급물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개편된 것이 특징이다. 지난해 최대 800만원이던 국고보조금은 올해 최대 700만원으로 줄었다. 자동차 성능, 저공해차보급목표제 대상업체 차량 여부 및 보급목표 달성실적, 가격 인하 여부를 고려해 최대 700만원 범위 내에서 차등 지원한다.
2일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전기차 보급 목표 대수는 총 20만7500대다. 이는 지난해(10만1000대)보다 2배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그중 전기승용차는 2021년 7만5000대에서 16만4500대로, 전기화물차는 2만5000대에서 4만1000대로 각각 목표를 늘렸다. 전기승합차 목표대수는 1000대에서 2000대로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반도체 공급 대란으로 신차출고대기시간이 장기화되고 있는 만큼 언제 출고될 수 있는지를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기차 보조금 자격부여일로부터 2개월 이내에 차량이 출고되지 않으면 보조금 신청이 취소되기 때문이다.
올해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제조사는 현대차, 기아, 르노삼성, 쌍용차, 한국지엠 등 국내 완성차 5개사를 비롯해 메르세데스-벤츠, BMW, 테슬라, 폴스타, 볼보, 스텔란티스, 재규어 등 총 12개다.
전기차 국고보조금 대상 차종의 구간별 차값 상한액은 500만원 낮아졌다. 예를들어 지난해에는 6000만원 이하 가격의 전기차라면 대부분 보조금 100%를 받았지만 올해는 5500만원이하여야 한다. 5500만원 미만 100%, 5500만~8500만원 미만 50%, 8500만원 이상 미지급으로 변경됐다.
5500만원 미만 차량이라고 해도 국고보조금 전액을 지원받는 것은 아니다. 고성능·고효율 차량에 대한 지원 조건을 강화하면서 산정방식도 달라진 것이 대표적이다. 지난해에는 주행거리 400㎞ 이상 차량의 저온·상온 1회 충전 주행거리 비율이 65~70% 미만일 경우 20만원을 지원했지만 올해는 70% 이상일 때 20만원을 지원한다.
달라진 산정방식에 따라 국고보조금 700만원을 받을 수 있는 전기차는 현대자동차 아이오닉5 2WD 롱레인지 20인치·롱레인지 19인치·2WD 롱레인지 19인치 빌트인 캠 미적용·2WD 스탠다드 19인치 등 4개 모델과 EV6 전 모델(6개), 한국지엠 볼트EV다.
지방자치단체들도 올해 보조금을 공개했다. 서울시·세종시는 최대 900만원(국비+지방비), 부산시 1050만원, 대구시·광주시 1100만원, 대전시 1200만원, 울산시 1050만원, 인천시는 1060만원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가장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지자체는 울릉군으로 1800만원으로 나타났다. 전남 진도군도 1650만원, 전남 장성군·함평군·영암군·해남군·강진군 등은 155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아이오닉5 2WD 롱레인지 20인치·2WD 롱레인지 19인치·2WD 롱레인지 19인치 빌트인 캠 미적용·2WD 스탠다드 19인치 등은 최대 900만원(서울시 기준)을 지원받을 수 있다. 기아 EV6 전 모델과 한국지엠 볼트EV도 같다. 울릉군의 경우 해당 차량은 지자체 보조금 1100만원을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