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농식품 수출이 스타품목 육성정책과 신남방정책에 힘입어 지난해에도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하며 6억3800만달러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농식품 수출액이 6억3800만달러로 지난 2020년 6억3400만달러보다 0.6%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딸기 179.5%, 배 22.3%, 포도 20.6%, 복숭아 13.9%, 토마토 11.8%가 증가하는 등 신선농산물이 지난 2020년보다 1.6% 증가해 사상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하며 농식품 수출 성장을 주도했다.
국가별로는 러시아 93.0%, 홍콩 59.9%, 인도네시아 50.7%로 수출이 급증했으며 샤인머스캣과 조미김의 수요가 늘고 있는 중국이 20.5% 증가했다. 이외에도 미국이 11.1%, 일본 17.5%, 호주 11.2% 증가했다.
이러한 증가세로 인해 역대 최고치인 6억3800만달러를 달성하면서 2년 연속 6억달러대 성적을 유지했다.
경북도는 이번 실적은 미국, 일본 등 전통적 수출시장에 대한 한계 극복을 위해 시작한 수출 다변화 정책,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비대면 농식품 수출 정책을 추진하고 신품종인 샤인머스캣(포도)과 알타킹(딸기)의 수출 확대를 위한 판촉활동을 펼친 결과라고 평가했다.
특히 수출 다변화 정책에 핵심이었던 신남방국가로의 수출액은 지난 2012년 말 2900만달러 선이었으나 지난해 말 9700만달러를 넘어 약 232% 성장해 1억달러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
또한 베트남시장은 지난해보다 17.0% 증가한 3500만달러를 기록했고 인도네시아는 2100만달러로 50.7%가 증가했다.
아울러 샤인머스캣은 최근 2년간 재배면적 급증으로 인한 과잉 생산 우려를 말끔히 지워버리고 경북도를 대표하는 수출 효자 품목으로 자리 잡았다.
딸기는 과실이 크고 쉽게 물러지지 않아 수출에 적당한 품종인 알타킹에 집중적인 수출 지원으로 수출액이 지난 2020년보다 약 3배 증가했다.
이철우 지사는 "아르헨티나·브라질 등 중남미국가와 폴란드·러시아 등 동유럽국가 등의 신흥시장으로 수출을 확대하기 위한 새로운 맞춤형 해외마케팅 및 판촉활동으로 지역 농식품의 수출 확대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