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부터 시행되는 단계적 일상회복을 위해 백신 접종과 면역 형성 인구 확보가
우선시 돼야 한다.
정부는 다음달 1일부터 정부의 `단계적 일상회복` 시행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일상으로 안전하게 전환하기 위한 기본 전제가 되는 백신 접종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은 지난 25일 열린 `코로나19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계획 공청회`에서 `일상회복은 6주 간격으로 3단계에 걸쳐 시행`, `1단계가 시행되는 내달 1일부터 유흥시설 등 일부 업종을 제외한 모든 시설에서 24시간 영업 가능`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방역·의료분야 로드맵 초안을 공개했다.
특히 로드맵에서는 유흥시설과 실내체육시설 등 감염위험이 높은 일부 시설은 백신 접종완료자나 PCR(유전자증폭) 진단검사 음성확인자만 이용할 수 있도록 `백신 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를 적용하는 등 백신방역체계가 기존 `확진자억제`에서 `위중증 관리`로 전환하지만 `백신접종` 여부를 여전히 중요시 하고 있다.
로드맵은 이밖에도 100명 미만의 행사는 조건 없이 허용되고 100명 이상이면 백신 패스가 적용된다. 식당·카페의 경우 사적모임 인원은 역시 10명까지 가능하지만 미접종자 이용은 일부 제한된다.
노래연습장, 목욕장업, 실내체육시설, 유흥시설 등 일부 다중이용시설과 의료기관·요양시설·중증장애인·치매시설, 경로당·노인복지관 등 감염취약 시설에는 접종완료자나 음성확인자만 이용·면회가 가능하도록 한시적으로 백신 패스가 적용된다.
중대본은 또한 백신의 접종완료율이 높아지는 것은 `가장 강력한 개인적 거리두기`로 백신 접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거리두기는 크게 `사회적 거리두기`와 `개인적 거리두기`로 두 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코로나19 예방 백신은 개개인의 전파를 차단하는 형태인 마스크 쓰기, 손 씻기 등과 함께 개인적 거리두기에 해당하며 가장 강력하고도 효과적인 거리두기 방안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백신의 접종완료율이 높아지는 것이 가장 강력한 개인적 거리두기의 수단이 매우 확대되고 강화되는 것을 의미하며 접종률이 높아가면 높아질수록 그 효과는 집단면역과 거리두기를 통한 유행차단과 발생감소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특히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에 따르면 지난 23일 오후 2시를 기준으로 잠정집계한 결과 접종 완료자수가 3594만5000명을 넘어 우리나라 전체 인구(5134만명) 대비 접종완료율 70%를 달성했다고 한다.
추진단은 지난 1월 28일 코로나19 예방접종 계획을 발표하면서 코로나19 통제를 위한 접종률 목표를 70%로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전파력이 강한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해 70%집단면역 달성을 통한 코로나19 유행 종식은 불가능 하지만, 예방 접종 목표 달성을 통해 위증중율과 사망률을 낮추고 단계적 일상 회복 전환을 시작할 수 있는 중요한 전제조건으로 큰 의미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