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일 스마트도시 조성을 위한 스마트도시 계획 수립용역 착수 보고회를 지난 2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가졌다.
스마트도시는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도로, 수도, 전기 등을 포함한 도시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공공데이터 수집·활용으로 교통과 환경, 에너지 등 분야서 발생하는 다양한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미래 도시이다.
이날 보고회에는 주낙영 시장과 김호진 부시장 및 관계 공무원 40여명이 참석했으며 용역 착수보고와 자문단 운영 계획 수립 등을 논의했다.
스마트도시계획 수립용역은 경주시가 오는 2023년∼2027년 5년에 걸쳐 추진하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의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시행된다.
용역을 통해 경주형 스마트도시의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단계별 추진 전략과 비전과 목표 등 큰 틀의 중장기 계획을 마련하게 된다.
또 스마트도시 기반 시설의 조성·관리·운영기준을 마련하고 시민체감 스마트 서비스를 발굴하는 등 지역 여건에 맞는 세부적 계획을 수립해 향후 스마트도시 건설과 각종 스마트 서비스 사업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용역 시행사인 ㈜정도유아이티 컨소시엄은 관련부서와의 협의와 마인드 교육, 주민설문조사, 주민 공청회, 중간보고회, 최종보고회 등 단계를 거쳐 내년 9월께 용역을 마무리하고 국토교통부 승인을 받을 계획이다.
주낙영 시장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적용된 도시관리의 스마트화 추세와 탄소절감 등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비대면 활성화 등의 급속한 변화에 발 맞춰 도시시스템을 바꿔 나가야 한다"며 "경주만의 특색을 갖춘 스마트도시로 조성될 수 있도록 마스터플랜을 잘 수립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