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지난 20일 독도 인근 해상에서 발생한 어선 전복사고 직후 울진 후포수협에 지역사고대책본부를 구성하고 관계기관 등과 함께 생존자 구조 및 실종자 수색 등 사고 수습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동해해양경찰청은 지난 20일 오후 2시 24분에 독도 북동방 약 91해리 해상에서 후포선적 통발어선(72t)이 전복됐다는 신고를 접수했다.
해당 어선은 지난 16일 오전 3시 11분 울진 후포항에서 출항했으며 한국인 3명, 외국인 6명(중국 4명, 인도네시아 2명) 등 9명이 승선해 조업 중 전복됐다.
지금까지 사고해역에 경비함정, 헬기 등을 동원해 수색을 하고 있으며 지난 21일 오전 생존자 2명(중국), 사망자 1명을 구조했다. 동해지방해양경찰청은 수색 3일차인 지난 22일 선박 사고 해역에서 해상 수색과 항공 수색했다.
해경은 지난 21일 야간에 대형함정 10척을 동원해 실종자에 대한 해상 수색을 실시했으나 특이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특히 사고 발생 구역을 중심으로 항공기 4대가 조명탄 200여발을 투하할 예정이었지만 기상 불량으로 수색 지원은 이뤄지지 않았다.
지난 22일 주간에 해경 대형함정 4척과 해군 함정 2척, 관공선 5척, 일본 해상보안청 함정 1척과 항공기 4대를 동원해 집중 수색을 진행했다.
사고 상황 보고를 받은 이철우 지사는 "실종자 구조를 위한 수색이 시급한 만큼 인력과 장비 등 동원 가능한 모든 자원을 지원하고 독도평화호, 경북202호 등 관공선과 민간 어선을 총 동원해 실종자를 수색하라"라고 지시했다.
또한 "수색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공유 및 지원을 통해 실종자 가족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라"라고 당부했다.
한편 경북도는 당초 10월 25일 독도의 날을 맞이해 사회·보훈 단체장들과 함께 독도 현지에서 결의대회를 실시하기로 했다.
하지만 독도 인근 사고어선 수습을 위한 행정력 동원을 위해 안동에 있는 독립기념관으로 장소를 변경해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제정 121주년 기념행사를 통해 독도수호 결의를 굳건히 다지고 나라 사랑의 뜻을 이어나가기로 했다.
박노환 기자shghks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