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선 후보 선출(11월 5일)을 약 2주 앞둔 가운데 선두권을 달리는 두 후보가 `우클릭`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  윤석열 후보의 전두환 `평가` 발언이나 홍준표 후보의 박근혜 전 대통령 언급은 모두 당원이 몰려 있는 영남지역 표심을 얻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다만 이를 두고 `소탐대실`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진영 간 대립으로 치러지기 십상인 대선 본선은 결국 `중원 싸움`에서 승부가 나기 마련인데 유력 후보들이 경선 과정에서 강경 보수 이미지에 갇힐 경우 본선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미다.  홍준표 후보 측에 따르면 홍 후보 캠프는 `친박신당` 대표인 홍문종 전 의원을 영입한다. 홍 후보는 `박사모(박근혜를 사랑하는 모임)` 등 박 전 대통령 지지단체 총연합회의 공식 지지를 받고 있기도 하다.  홍 후보는 윤 후보에 비해 당심에서 밀리는 점을 의식한 듯 최근 영남지역에서 열린 두 차례 합동토론회에서 윤 후보를 향해 "박 전 대통령이 공천에 관여한 것은 통치행위인가 정치행위인가 실정법 위반인가", "문형표 전 보건복지부 장관을 수사할 때 `박 전 대통령 (혐의)만 불면 봐주겠다`라고 말한 사실이 있나"라고 따져 물었다.  반면 윤석열 후보는 `전두환 미화` 논란에 휩싸일 정도로 보수층을 겨냥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그는 논란이 거세지자 결국 이날 "5공 정권을 옹호하거나 찬양한 것이 결코 아니지만 설명과 비유가 부적절했다는 많은 분들의 지적과 비판을 겸허히 수용하고 유감을 표한다"라고 한발 물러섰지만 여전히 "각 분야에 널리 전문가를 발굴해 권한을 위임하고 책임정치를 하겠다는 뜻이었다"라며 전두환에 대한 `평가` 입장은 거두지 않았다.  윤 후보는 지난 20일 대선 경선 토론에서도 "인재를 잘 기용하겠다는 뜻"이라며 "말을 앞뒤 뚝 자르면 안 된다"고 맞받기도 했다.  이는 당내 최종 후보 선출까지 2주 정도 앞둔 시점에서 당심을 공략하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국민의힘 본 경선에서는 책임당원의 의사 반영 비율이 50%로 높아진다.  국민의힘에 새로 유입된 당원들 중에서는 청년층이 많지만 여전히 당원의 지역별 비율을 따져보면 영남지역이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울산·경남과 대구·경북을 찾아 `우클릭` 행보를 보이는 것이 놀랍지는 않다는 분석이 지배적인 이유다.  야권 관계자는 "어차피 본선에 가면 당과 당의 싸움이 된다. 지금은 당세를 모으는 것이 후보들 입장에서 우월 전략인 것은 맞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여론조사상 `정권 교체론`이 압도적이다. 중도층이 정권 교체를 염원한다는 뜻"이라면서 "본선에서 그 표가 우리 쪽으로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했다.  지나치게 낙관적인 시각이라는 반박도 있다.  정치권은 일반적으로 대선 투표율이 높아야 야당에 유리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