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자원회수시설(경주 소각장)에서 근무하는 노동자들이 오는 29일부터 총파업을 예고하면서 쓰레기 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자원회수시설은 생활 쓰레기를 안정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서희건설이 지난 2013년 준공했다.  수익형 민간투자사업(BTO) 방식으로 지어진 이 시설은 건설사가 경주시에 소유권을 기부 채납하고 15년간 투자금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27일 민주노총 공공연대노동조합 경북본부에 따르면 민간위탁 방식의 고질적인 문제 때문에 경주시 소각장의 정상 운영이 회생 불가한 상태로 환경오염, 임금 삭감, 인사 갑질 등으로 9년간 방치되고 있는 노동자들의 피해를 알리기 위해 총파업에 들어간다.  민주노총 경북본부 측은 "관리 부실로 지난해 소각로 1, 2호기가 각각 127일과 109일 동안 가동을 멈췄고 지난 2017년 1월 9일부터 2019년 8월 31일까지 총 8038건의 대기오염물질을 초과 배출해 노동자는 물론 경주 시민들의 건강을 위협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감독기관인 경주시가 설계보고서 등에 따라 인력 운영과 직접인건비 지급을 ㈜경주환경에너지 운영사인 서희건설에 요구해야 하는데도 수수방관하고 있으며 t당 9만7640원의 소각비를 12만1304원으로 25% 인상하고도 관리·감독을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경주시 관계자는 "자원화시설의 경우 오는 2028년까지 위탁계약 기간이 남아있고 노사 문제로 시가 개입할 수 있는 부분이 제한적"이라면서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경주시의 하루 생활 쓰레기 배출량은 130t이며 자원회수시설의 처리 용량은 170t이다.  현재 2곳의 소각로 중 1곳이 고장으로 멈춰 하루 약 70t만 처리되기 때문에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쓰레기 대란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