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30도가 넘는 폭염(暴炎)이 지속되고 있다. 젊고 건강한 사람이라면 견딜 수 있으나 문제는 건강하지 못한 사람과 노인 분들이다. 여름에는 열로 인한 열상기(熱傷氣), 열상진액(熱傷津液)으로 특히 체내 주요 에너지원인 `기`와 `진액`이 손상된다. 일반인들이 말하는 `탈진(脫盡)`이 된다는 뜻이다. 만약 여러분이 계절의 변화에 민감하다면 이는 건강하지 못하다는 증거이다. 외국 여행 가서 잠들기가 어렵거나, 음식이 입에 안 맞거나 변비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그만큼 민감하다는 것으로 이는 인체의 면역저항력과 연관이 있다. 따라서 이렇게 급격히 온도가 올라가는 계절에는 건강에 문제가 있는 분들은 별도의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인들에게 여름 보양식을 추천하라고 하면 이열치열(以熱治熱)이라고 해 삼계탕을 가장 먼저 언급할 것이다. 삼계탕은 말 그대로 인삼과 닭이 주 원료인 음식인데 인삼 성질이 따뜻하다는 것은 대부분 알 것이다. 그럼 닭은 어떠한가? 닭 역시 따뜻한 성질의 음식이다. 뜨거운 여름에 이러한 따뜻한 음식을 먹으니 이열치열이라는 말을 하는 것이다.
성하(盛夏)의 열로 기와 진액이 손상됐으니 따뜻한 음식을 먹어 원기를 회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평소 추위를 잘 타고 손발이 차고 저혈압이며 소화가 잘 안 되고 설사가 자주 있으며 조금만 과로하고 땀을 흘려도 힘이 빠지는 사람들에게 삼계탕이 적격이다. 상기 증상들은 소음인에게 자주 나타나는 증상들인데 여름에 땀이 나면 이러한 증상들이 더욱 가중되기 때문이다.
반면 성질이 급하고 평소 찬물을 마시며 더운 것을 못 참는 열성 체질, 그리고 땀을 흘려도 피곤하지 않는 사람들은 이러한 삼계탕이 그리 도움이 되지 않는다. 물론 이런 사람이 땀을 많이 흘려 탈진이 된다면 도움이 되겠지만 기본적인 생리 상태라면 삼계탕은 권하고 싶지는 않다. 가끔 녹두삼계탕이라는 것이 시골에 가 보면 있다. 이 녹두삼계탕이 그나마 열성 체질에는 맞다. 녹두가 매우 찬 성질로 열로 인한 체내 독소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찬 성질의 음식과 더운 성질의 음식이 병용되기 때문에 그나마 낫다는 것이다. 과거에 비해 지금은 여름 보양 음식으로 많이 먹지 않는 영양탕(일명 구탕(狗湯)) 역시 따뜻한 성질의 음식이다. 여름 보양식으로 추천되는 추어탕 또한 성질이 따뜻한 음식으로 열이 많은 체질에는 그리 권할 만한 음식이 아니다. 다시 정리해 말하면 `이열치열`의 음식이 권장되는 사람은 바로 소음인 경향성의 사람들, 그리고 연로하신 분들로 삼계탕, 영양탕, 추어탕 등이 보약과 같은 음식이라는 것이다. 반면 열이 많은 열성 체질의 사람들은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이런 음식을 자주 먹지 말라는 것이다.
그럼 열이 있는 사람이라면 삼계탕처럼 여름에 단백질도 보충하고 체력을 보강하는 음식은 없을까? 바로 오리고기와 돼지고기이다. 오리고기, 돼지고기 모두 찬 성질의 음식으로 사상의학에서 소양인 음식이다.
마지막으로 또 하나의 음식을 권한다면 장어이다.
물론 장어는 다른 음식에 비해 체질 관련 없이 폐가 약한 사람들에게 매우 효과적인 음식이다. 건강한 사람이라면 뭔들 문제가 있겠는가? 굳이 이렇게 음식을 가려 먹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왕 먹는다면 그래도 체질에 따라 영양 보충을 하는 것이 보다 더 현명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또한 나이가 일흔 살이 넘어가면 굳이 체질을 가리지 말고 소화가 잘 되는 음식, 그리고 따뜻한 음식을 여름에 먹는 것이 좋다.
여름에 `보양(補養)`이라는 단어 자체가 혈기 왕성한 젊은 사람들에게 어울리지 않고 면역력이 떨어지는 사람들에게 어울리는 단어이기에 과거부터 따뜻한 음식이 보양 음식으로 언급된 것이다. 열성 체질의 사람들은 본 건강 칼럼을 읽으면서 굳이 도움이 안 되는 음식을 몸에 좋다는 체면을 걸면서까지 먹을 필요는 없다. 최대한 수분 섭취를 하고 수박, 참외 등의 과일과 더불어 상기한 차가운 성질의 음식들을 골고루 복용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