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수칙인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 완화를 두고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그동안 각종 규제로 직격탄을 맞았던 자영업계는 반색하는가 하면 의료계에서는 코로나19 재확산 방지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오는 7월 1일부터 적용 예정인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은 △5인 이상 사적모임 기준 완화 △다중이용시설 영업금지 최소화를 골자로 한다.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는 기존 5단계에서 4단계로 축소됐다.
일일 확진자 수를 기준으로 1단계는 전국 500명 이하(수도권 250명 이하)→ 2단계 전국 500명 이상(수도권 250명 이상)→ 3단계 전국 1000명(수도권 500명 이상)→ 4단계 전국 2000명 이상(수도권 1000명 이상)이다.
개편안에 따르면 경북은 현시점에서 1단계 적용 지역에 포함된다.
이는 사적 모임이나 다중시설 이용 제한이 없는 단계다.
지역 여건에 따라 달리 적용할 수 있지만 정부 가이드라인이 `완화`로 결정된 만큼 큰 변동을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실상 빗장이 풀리자 도내 자영업계는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특히 유흥업종을 중심으로 환영 분위기 일색이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유흥업종은 집단 감염 발원지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종업원이나 손님을 매개로 감염이 시작되면 걷잡을 수 없이 퍼져 나간 탓이다.
이런 까닭에 유흥업은 영업에 제한을 가장 많이 받아온 업종 중 하나로 코로나19 사태 이후 어느 한 곳에서 감염됐다는 말만 나오면 전체 업소가 문을 닫아야 하는 고통이 따랐다.
사업주는 영업 제한으로 임대료는 물론 주류 대출금, 생활비를 감당하지 못해 폐업하는 곳도 속출했다.
사업주들은 "그나마 늦게라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돼 다행"이라며 "유흥주점 업주는 특혜를 원하는 게 아니라 다른 업종과 동등하게 대우받길 원할 뿐"이라고 말했다.
사정은 식당가도 마찬가지다.
사적모임 금지 기준으로 말미암아 번번이 대목을 놓쳤다. 회식 문화도 사라지면서 평일 영업 역시 손해가 이만저만 아니었다.
이들은 연말이나 명절 대목은 차치하고라도 평일 장사도 공치는 때가 하루 이틀이 아니었다며 집합인원 제한기준 완화로 이제 좀 숨통이 트일 것 같다고 기대했다.
반면 의료계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대안과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지역 의료계에서는 백신 접종자가 점차 늘어나며 인센티브 제공 차원에서라도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는 필요하다면서도 다만 백신 미접종자나 접종 대상에서 빠지는 활동량 많은 젊은 세대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