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진 대구시장이 8일 "최근 대구시와 메디시티협의회가 정부의 백신 구매를 돕기 위해 선의로 시작한 일이 사회적 비난과 정치적 논란을 야기하면서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며 "모든 잘못과 책임은 전적으로 시장인 저에게 있다"고 공식 사과했다.
논란이 불거진 지 8일 만이다.
권 시장이 `선의로 시작한 백신 도입 과정`을 되짚어보면 이렇다.
올해 초 의료계 모임인 메디시티대구협의회(이하 협의회)에서 백신 도입 가능성을 처음 언급했을 때 권영진 시장이 `한번 알아봐 달라`고 했다고 한다.
지난 4월 28일 협의회 측이 "독일에서 백신을 도입할 수 있으니 대구시 차원에서 구매의향서를 보내자"고 제안했다.
권 시장은 "당시 좀 더 세심하게 살펴보지 않고 보건복지부와 협의하도록 했다"고 후회했다.
보건복지부와 협의 후 구매의향서를 보내는 것에 대해 대구시와 협의했다는 협의회 측의 말을 듣고 사실 관계 확인이나 추가 협의 없이 대구시장 명의의 구매의향서를 보내줬다는 것이다.
이후 지난달 31일 대구시가 의료계 대표들과 함께 백신 접종을 호소하는 담화문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지자체 차원의 백신 구매 가능성`에 대한 질문을 받자 권 시장은 "협의회를 통해 자체적으로 화이자사의 코로나19 백신 3000만명분 구매를 추진 중"이라고 말해버렸다.
그러자 시민단체, 여당, 일부 정치인 등이 추진 경위를 밝힐 것을 요구하며 `가짜 백신 사기사건` 논란으로 비화한 것이다.
결국 지난 3일 보건복지부는 "대구시와 메디시티협의회가 제안한 백신 구매 건은 공식 유통 경로가 아니며 진위가 의심스럽다"며 "백신 도입을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일부에서 제기하고 있는 백신 도입 예산과 관련해 권 시장은 "대구시와 메디시티협의의 예산이 집행된 사실이 전혀 없다"고 했다.
이명열 기자rositante@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