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회 최광교 의원(기획행정위원회)은 8일 "대구 전역의 재난대피시설과 비상급수시설을 선별해 점검해본 결과 시설은 물론 관리도 엉망"이라며 "세월호 참사가 난지 2년이 다 돼가지만 변한 것이 하나도 없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에 따르면 대구지역 대피시설에 유도·안내 표지판이 없는 곳이 수두룩하고, 일부 대피시설은 낡고 노후해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이용하기 힘들 정도다. 일부 대피시설의 경우 시설사용자가 휴업으로 문을 닫아 사용할 수 없으며, 일부는 시설 상호명이 다르게 기재돼 있는 곳도 발견됐다. 최 의원은 "심지어 10년 전에 폐업한 대피소의 이름이 버젓이 기재돼 있는 등 관리에도 심각한 문제가 있다"며 "10년 넘게 대피소 인근에 살고 있는 주민들 조차 대피시설이 어디에 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지적했다. 비상급수시설도 마찬가지여서 중구의 경우 지난해 수질검사 이후 검사성적을 업데이트하지 않았고, 수성구는 음용수와 생활용수를 구분해 놓지 않았으며, 서구는 수질 검사성적을 아예 공개하지도 않았다. 달성군 옥포·하빈 등 일부 면단위 지역에는 대피시설이나 비상급수시설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광교 의원은 "최근 지구환경 변화로 지진, 홍수 등 자연재해는 물론 방사능 오염 등 재난·재해에 대한 공포심이 커지고 있어 재난 성격에 맞도록 대피시설을 개선해야 한다"며 "무엇 보다 시민 누구나 생활주변에서 쉽게 대피시설이나 비상급수시설을 찾을 수 있어야 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종환 기자jota123@hanmail.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