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이 방사성폐기물의 장기 처분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분석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기술은 원소분석법을 적용해 방사성폐기물 속 셀룰로스 함량을 빠르고 정확하게 정량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존 정성적 분석 방식의 한계를 극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방사성폐기물은 원전 운영 과정에서 금속, 플라스틱, 종이류, 작업복 등 다양한 형태로 발생한다. 특히 종이류나 면류에 다량 포함된 셀룰로스는 처분 환경에서 방사성 핵종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안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물질로 정량적 관리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분광분석 등 정성적 기법에 의존해 발전소 현장에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한수원이 이번에 개발한 원소분석 기반 정량화 기술을 통해서는 폐기물 내 셀룰로스 함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됐다. 이로써 방사성폐기물의 부피를 줄이고 처분 과정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특히 해당 기술은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등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적 안정성을 인정받았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