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연구원은 지난 18일 개최된 이민정책연구원, 법무부 주관 `2025 이민정책포럼`에 참여했다.    이번 포럼에는 전국 광역 단위 지역연구원(31개)의 기관장 및 각 기관의 이민정책 전문연구자, 중앙 및 지자체 이민정책 담당 공무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지속 가능한 지역이민정책`을 주제로 한 포럼에서 참석자들은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지자체 차원의 이민정책 기획과 실행이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 지역별 구체적인 사례를 공유하며 중앙과 지자체 이민정책의 정책적 일관성을 모색하기 위한 전략 및 협력 방안에 대해 토론했다.  주요 토론내용은 계절근로자제도, 지역특화비자제도, 광역형비자제도 등 지역기반 비자정책의 실제 운영 사례와 개선 방안, 고려인 동포밀집지역 형성 과정과 관련 정책의 지역별 비교 분석,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협력을 통한 내실 있는 지역기반 동포정책 추진 방안 등이다.  한편 경북연구원은 포럼에 앞서 이민정책연구원을 포함한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산하 지역연구기관과 공동연구 및 사업 추진을 위한 지역이민정책 연구네트워크 MOU를 체결했다.  이 연구네트워크는 제4차 외국인정책기본계획(2023년∼2027년)의 중점과제인 `이민행정 전문성 및 연구기반 확충`을 위해 기획된 세부추진과제 실행의 일환이다. 이민정책연구원이 운영위원장을 맡아 연간 운영계획을 수립, 전문적인 지역이민정책 연구결과를 축적·확산하는 플랫폼 기능을 수행한다.  우병렬 이민정책연구원장은 "이번 MOU 체결을 계기로 지금까지 흩어져 있는 지역이민정책 연구가 중심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견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유철균 원장은 "지방 중소 제조업의 인력난과 관광산업 침체는 국익 차원의 과감한 지역 이민정책 없이는 해결이 어렵다"며 "지금이야말로 노동력 확보와 관광 진흥을 위한 전략적 이민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북연구원은 지역 주도의 이민정책 수립과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정책 개발과 협력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