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도지사는 장맛비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도내 전 지역에 `마을 사전 대피체계`를 전면 가동했다. 특히 산사태 위험이 큰 지역과 지난해 산불 피해가 컸던 지역을 중심으로 대응 수위를 최고 단계로 끌어올렸다.  17일 도에 따르면 이날 경북 전역에 집중호우가 내리는 가운데 청도에는 시간당 45.5㎜가 넘는 폭우가 기록되면서 도내 전역에 비상 대응 체계를 강화했다.  도는 기상 상황이 악화할 것을 우려해 전 시군을 대상으로 `마어서대피` 긴급 대응체제를 가동하고 주민 대피 준비에 돌입했다. 전 시군에 기존에 마련한 재난 대응 체계인 마을순찰대를 전면 가동하고 산불피해지와 산사태 고위험지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주민 대피가 가능하도록 조치했다. 해당 지역 주민들에겐 오후 해가 지기 전 대피를 완료할 수 있도록 안내가 이뤄지고 있다.  안전행정실 관계자는 "충청권에 시간당 100㎜에 달하는 폭우가 관측되는 등 강수대가 북상 중으로 토요일까지 최대 200㎜ 이상의 강수가 예상되는 상황"이라며 "예기치 못한 국지성 집중호우에 대비해 현장 대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마을순찰대는 각 읍면 단위로 편성돼 마을 단위 위험 요소를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있으며 지자체는 취약계층과 거동이 불편한 주민을 먼저 파악해 대피를 돕고 있다. 또한 응급 복구 장비와 인력을 사전에 배치해 추가 피해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철우 지사는 "재난 상황에서 공무원 본연 역할은 첫째도, 둘째도 주민 생명을 보호하는 것이"라며 "전 시군의 행정력과 함께 마을순찰대가 마을 사정을 가장 잘 아는 만큼 주도적으로 위험지역 주민을 설득해 사전에 대피를 완료하라"고 지시했다.  한편 도는 지난해 5월부터 도내 5189개 마을에 지역 공무원과 주민이 마을을 지키고 위험시 대피하는 마을순찰대를 구성했으며 경북형 대피시스템인 `마어서대피 프로젝트`를 가동 중이다. `마어서대피 프로젝트`는 `마을순찰대와 함께 어두워지기 전에 서둘러 안전한 대피소로`라는 뜻이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