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9일 발효·시행한 국가별 상호관세 조치에 따라 미국으로 직·간접 수출을 하는 구미지역 중소·중견 수출기업에 관세폭탄이 현실화 됨에 따라 구미시는 `구미경제동향분석센터`를 중심으로 지역 수출기업의 피해 최소화 지원에 나선다.  구미시는 10일 한국산업단지공단 경북지역본부 콘퍼런스홀에서 지역 내 수출 유관기관과 지역 중소·중견 수출기업 관계자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수출기업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수출기업들은 한목소리로 최근 시행된 미국 상호관세 조치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지역 수출기업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에서 적극적으로 지원방안을 마련할 것과 미 관세정책에 대한 정보공유 체계화, 수출 다변화를 위한 해외 진출지원 등을 요구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 기업 관계자는 "대기업과 달리 중소기업은 급변하는 관세정책에 쉽게 대응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라며 "최근 미국 트럼프 정부 관세정책으로 시장 변동성이 심한 상황에서 당장의 금융자금 지원보다 중소기업이 관세정책에 대응전략 수립을 위해 정부 및 지자체에서 수출기업에 관세 정보가 공유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영철 경제국장은 "구미시는 다양한 지역 수출기업들의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올해 도내 처음으로 `구미경제동향분석센터`를 구축했고 특히 기업지원 전문가들로 구성된 `원스톱 에이전트`를 운영해 최근 관세조치로 어려움이 있는 지역 기업에 관세, 수출 등 기업 맞춤형 사업을 연계·지원할 방침이다"라고 했다. 이어 "지역 수출기업 피해상황을 구미경제동향분석센터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지역 각 유관기관과 상호 공유체계를 구축해 수출기업 피해 최소화 지원에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구미경제동향분석센터는 미 상호관세 부과조치에 앞서 지난 3일부터 8일까지 5일간 지역 수출기업 191개 사를 대상으로 `미국 관세조치에 따른 영향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에 응답한 22개 사 중 13개 사(59.1%)에서 미국으로 직간접적 수출을 하고 있다고 했으며 10개 사(45.5%)에서는 관세정책으로 지역 수출기업에 큰 피해가 있을 것으로 보는 것으로 응답했다.  이번 상호관세 조치로 납품물량 감소(11개 사), 수익성 악화(10개 사), 가격 경쟁력 하락(9개 사) 순서로 피해를 볼 것으로 전망했으며 주요 건의사항으로는 대미 수출 대응전략 컨설팅 지원, 수출 물류·운송비 지원 및 피해(예정)기업에 대한 금융·세제 지원 등으로 응답했다.  박의분 기자ub0104@hanmail.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