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미술사의 흐름에서 흥망성쇠의 국가관 속 문화예술의 영역은 사회적 안정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봐왔다.    회회 영역에서 사회현상과 경제적 흐름은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쳤으며 당(唐)대의 화려한 귀족 중심의 문화는 북송대 지성적 우아함을 예술 영역에서 빛을 봤다.  금나라에 멸망하면서 정강(靖康)의 변(變)은 중국 역사 속 한족의 가장 슬픈 결과를 맞이했다.  남송(南宋)대에 그림의 크기와 재료 표현 종류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면서 인물 풍속화가 적게 그려지고 산수화, 사군자 화조화가 많이 그려졌다.  한족 지식인과 사대부들의 의식에 절개(節槪), 지조, 의식이 가슴에 남았다.  그림 소재의 변화에서 지적이며 고아한 서정성에 복고주의와 전통 문화예술이 존중된다.  소식의 화론(畵論)을 보면 "고개지의 그림과 한유의 글과 두보의 시를 칭송한다"고 적혀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