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비혼`, `비혼주의자`라는 말을 대중매체, 주위에서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다. 과연 이 비혼이 선택일까? 포기일까?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현세대를 `N포 세대`라 지칭한 지 벌써 10년 가까이 됐다. 기성세대에게 당연하게 여겨졌던 결혼, 출산, 본인 명의의 집과 같은 것들은 현세대에게는 사치스러운 일이 된 것은 오래된 일이 아니다. 당연하게 생각했던 결혼, 출산, 본인 명의의 집과 같은 것들을 현세대, 즉 청년들에게는 오르지 못할 나무이며 포기하며 사는 것이 당연하게 돼 가고 있다.  청년들이 포기하는 것 중 하나인 결혼은 출산율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한국은 행정상 법률적 혼인 관계가 아닌 상태에서 자녀를 출산하면 자녀의 신분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매우 높은 나라이고 국민 정서상 미혼모, 미혼부, 한부모가정이라는 꼬리표 또한 부정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해 부정하지 못한다.  실제로 지난 1994년부터 2023년까지 통계조사에 따르면 혼인 건수와 출생아 수의 상관계수는 0.938에 이르며 저출산과 혼인 감소는 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청년들은 왜 결혼하지 않는 것일까? 출산을 망설일까?  가장 큰 이유라고 볼 수 있는 것은 경제적인 부분이다.  결혼은 돈이 많이 들고 혼인신고를 하게 되면 경제적인 불이익을 보는 제도가 존재해 이는 청년들이 결혼을 하고 독립하는 데 새로운 주거지를 마련하는 것에 치명적으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널리 알려진 주택도시보증공사의 디딤돌 대출의 경우 미혼자와 결혼을 한 부부의 대출 가능한 소득은 연 6000만으로 동일하고 근로장려금 제도의 경우 1인 가구 연 2200만 미만부터 지원받을 수 있지만 맞벌이 가구의 경우 연 3800만 미만이어야 이 제도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데 단순 수적으로 계산을 했을 때 인원이 2배로 늘었지만 소득 기준은 1.7배만 상승해 수혜 대상을 고르는 것으로 혼인신고 시 손해를 보는 구조이다.  청년들이 결혼하고 가정을 꾸리는 것에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많은 대출도 `부부 합산 소득` 이라는 기준에 묶여있어 현실을 따라가지 못하는 것도 문제 중 하나일 것이다. 이렇듯 미흡한 제도에 결혼은 청년들에게 손해가 되는 선택지이며 청년들의 결혼, 출산을 미루거나 혼인신고를 하지 않는 등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를 조장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들은 현실적으로 완벽할 수 없지만 결혼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불이익이 아닌 도움을 줄 수 있는 제도의 변화와 현실을 따라가지 못하는 기준의 변경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