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지난 3일 전남 육용오리 농장에서 시작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종계 농장에서 추가 발생된 이후 10여일 만에 전북지역 산란계 농장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어 도내 유입 방지를 위한 방역의 고삐를 단단히 조인다고 밝혔다.  경북도 내에서는 구미 지산샛강 야생조류에서 4건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진됐다. 바이러스 유형도 H5N1형뿐만 아니라 H5N6형도 같이 확인돼 긴장감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이에 경북도는 현장점검반을 동원해 전 국민 계란 수급과 직결되는 산란계농장의 소독실태와 방역수칙 준수 여부를 14일부터 오는 28일까지 14일간 집중 점검한다.  또 20만 수 이상 산란계농장 20개소에 대해서 지역담당관 지정·운영으로 1대 1 전화 예찰과 현장점검, 농장 방역실태 개선사항 도출 등을 통해 농장 주도의 자율 책임방역 체계를 강화한다.  산란계 밀집단지 4개소에는 특별방역대책기간이 시작된 지난 10월 초부터 통제초소와 환적장을 운영하며 차량·사람 통제 및 농장 주변과 진입로 소독을 철저히 하고 2주 1회 실시하던 책임전담관 현장점검을 매주 실시하고 있다.  김주령 도 농축산유통국장은 지난 12일 경산 철새도래지 등 현장을 직접 방문, 도내 가금농장 유입 및 확산 방지를 위해 철새도래지 출입 통제 관리와 소독, 농가 예찰을 강조하고 도민들에게도 철새도래지 주변 산책과 낚시 등 출입 자제를 당부했다.  또한 "농장에서는 `내 농장은 내가 지킨다`는 신념으로 농장 출입 통제, 농장 내 출입차량 2단계 소독, 농장 내 매일 소독, 축사 내 진입 시 장화 갈아신기 등 기본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겨울철 낮은 온도에서는 소독제 효력이 저하되므로 겨울철 소독제 선택과 사용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 달라"고 요청했다.    아울러 "과거 H5N6형 발생을 보면 가금에서 감염 후 폐사가 나타나기까지 일정 기간이 소요됐다"며 "농장에서는 세심하게 관찰해 폐사 증가, 산란율 저하 외 비교적 초기에 나타날 수 있는 사료섭취 저하, 침울, 졸음, 호흡기 증상, 녹변 등 가벼운 임상증상이 있더라도 즉시 신고해 줄 것"을 재차 강조했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